earticle

논문검색

《中麓畵品》에 의한 명대 절파 화론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rt Theory of Zhe School in the mid Ming China According to Chinese Paintings

《중록화품》에 의한 명대 절파 화론 연구

주미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resent paper aimed at examining and analyzing Chinese Paintings which was a commentary on Zhe School by Li Kai Shan among many scholars in further details for the right understanding of Zhe School painting style which began to develop as the painting style in the Ming dynasty in China. Although Zhe School painting was an imperial-court decorative painting which followed the painting styles of Lee Tang, Ma Yuan, Xia Gui, and so on, it was criticized by literati painters. In the late Ming dynasty in China, the later painting style of Zhe School was called as a wild and heterodox school by some attackers. It is judged that these attacks on the late painting style of Zhe School were an unfair evaluation in the light of modern society in which artis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re greatly regarded. However, concerning these opinions, Li Kai Shan, who was an appreciator in the mid Ming dynasty in China, was the only one who suggested supporting art theory in favor of Zhe School painters in his book Chinese Paintings.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suggest the right perspective on the art theory of Zhe School by analyzing his book Chinese Paintings which corrected the negatively biased point of view on Zhe School paintings. It can be said that it was revealed through the art theory of Li Kai Shan as these in the light of the Chinese art history that Zhe School painting style had a value as a painting style by defending the negative opinions on Zhe School, and that it has greatly influenced the succession of Zhe School painting styles in the late Ming dynasty in China, although it was called as a wild and heterodox school.

한국어

본 논고는 기존의 연구에서 명대 회화 양식으로 발달하기 시작한 절파 화풍에 대해 시도하지 않은 절파 화풍에 대해 폄하된 시각을 이개선(李開先)이 주창한 절파에 대한 의견 중 『中麓畵品』을 통해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 것이다. 절파는 이당(李唐), 마원(馬遠), 하규(夏珪) 등의 회화 풍격을 계승한 원체화 (院體畵)풍이었으나 오파로 계승된 문인화가들로부터 비하되고, 명말에 이르러서는 절 파 후기양식을 狂態邪學이라고 공격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이러한 절파에 대한 비 판, 특히 절파 후기 양식에 대한 공격은 현대사회에 와서 작가의 개성과 의미를 중시여 기는 상황에서 공정하지 못한 평가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이러한 견해에 대해 명대 중 기 감상가인 이개선(李開先)은 그의 저서 『中麓畵品』에서 유일하게 절파 화가에 대 해 변호하는 화론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절파 회화에 대한 편벽적이었던 시각에 반론을 제기한 『中麓畵 品』을 분석함으로써 절파 화론에 대한 올바른 시각을 가지게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개선(李開先)의 화론이 미술사적인 의의로 절파에 대한 부 정적인 견해를 옹호하여 회화 양식으로의 가치를 가지게 하고, 광태사학이라고 불리긴 했지만, 명대 후기 절파화풍을 계승하는 데도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中麓畵品』의 화론 이해 및 명대 회화의 형성 배경
  1. 李開先의 화품론
  2. 대진 중심의 절파 형성
  3. 성리학의 滅人欲明天理과 양명학의 致良知영향
 Ⅲ. 《中麓畵品》에 의한 명대 중기 절파 회화 분석
  1. 여섯 가지 요체론(要諦論)
  2. 네 가지 병폐론(病弊論)
 Ⅳ. 『中麓畵品』에 의한 명대 절파 회화의 화론사적 의의
  1. 절파 회화의 예술성
  2. 후기 절파에의 영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주미경 Joo, Mi Kyoung. 삼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