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혜원 신윤복 「傳神帖」의 글로컬리즘(glocalism)적 고찰

원문정보

The Glocalogical review for Hyewon Yunbok, Shin's 'Jeonsincheob'

혜원 신윤복 「전신첩」의 글로컬리즘(glocalism)적 고찰

권윤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enre paintings, which describes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has lifestyle and Pungnyu of our ancestors. Pungnyu is aesthetic consciousness and a way of lives. The culture of Pungnyu is a kind of art boundary that combines high spirits and art. Hyewon’s 'Jeonsincheob'('傳神帖', a kind of spirit trasfered drawings book) is a genre painting which represents Pungnyu and shows various activities at that time. Therefore, we can understand our own spirit and soul through appreciating his paintings. It is through communication and convergence that we can understand the modern civilization. Thus, Hyewon’s 「Jeonsincheob」can be considered in terms of glocalism, which means the combination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and can be explained by the relation of universality=particularity, Korean wave=globalization, and decentration. This is the boundary which means playing together(“同遊”), which means enjoying together("同樂”), and which means harmony(“同和”), This boundary is the Korean culture code which can be linked and have empathy to the outside world. Hyewon’s 'Jeonsincheob' symbolizes the original form of Korean wave which the world is enthusiastic to. Korean Pungnyu is the source of Korean wave and seems like DNA. The source of Korean wave is the combination of Korean artistic Pungnyu and arts which has the Pungnyu. Korean wave, which is globalization of Korean culture, is propagation of the Pungnyu that can be said to the flower of Korean culture. Pungnyu takes place as element of music, art, and poetry and calligraphy from Korean art. Korean Pungnyu has 'heung', characteristic that make the world touching. So, various Korean popular culture has received attention of the world. It can be proved from recent K=drama, K=pop, K=beauty and so on. In addition, Korean Pungnyu culture can be the mainstream of cultural nation. Hence, the study to the Pungnyu culture is foundation and basis to support the sustenance and diffusion of Korean wave. It can apprehend the source and origin of Korean Pungnyu. Korean Pungnyu culture is the academic theory, which is also makes possible the modern succession of the disconnected culture and formulation of high=ㄴlevel sprit culture. The Pungnyu is an icon of Korean culture, realization of taste, and happens through “stroll”, which means the walking peacefully, and “sightsee”, which means go sightseeing. Korean Pungnyu culture shown in 'Jeonsincheob' is the boundary which means playing together(“同遊”), which means enjoying together("同樂”), and which means harmony(“同和”) in the perspective of glocalism, and which is the source of Korean wave sympathiz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Therefore, it is the importance of 'Jeonsincheob' that it can make Korean wave diffuse worldwide to study about the value of Koran Pungryu culture.

한국어

풍속화는 서민들의 생활을 그린 그림으로 우리 선조들의 생활상과 풍류가 담겨있다. 풍류는 하나의 미의식이면서 삶의 한 양식으로 풍류문화는 높은 정신세계와 예술이 결합된 일종의 예술경계이다. 풍류는 우리 문화의 icon으로 멋과 맛의 구현이며 소요와 유람을 통하여 나타난다. 혜원 신윤복의 「전신첩」은 우리 풍류문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풍속화이다. 혜원「전신첩」의 미학적 특질은 첫째 우리 풍류의 상징이며, 둘째 동양예술학 발전에 기여하는 부분이 있고 셋째 글로컬리즘적인 고찰이 가능함에 있다. 「전신첩」의 글로컬리즘적은 ‘중심=변방’·‘지역=세계’·‘보편=특수’라는 측면에서 고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신첩」의 심미경계가 개개인의 즐거움을 지향하는 獨樂의 境界·자신이 처한 자연환경과 조화를 지향하는 同和의 境界·집단 구성원사이의 사회환경과 조화를 지향하는 同樂의 境界로 고찰하여 볼 수 있다. 이러한 고품격의 정신경계가 세계와 소통함으로 공감될 수 있는 우리 문화코드인 한류이다. 혜원의 「전신첩」에는 세계가 열광하는 한류의 원형이 담겨있다. 한류의 본질은 우리의 예술적 풍류와 우리의 풍류적 예술이 결합함에 있다. 우리 풍류는 한류의 DNA이면서 원천이다. 한류는 우리문화의 세계화이다. 이는 우리 풍류의 세계화로 K-pop·K-drama·K-beauty등에서 알 수 있다. 「전신첩」에 나타난 獨樂·同和·同樂의 審美境界는 우리 풍류의 본질로 한류로 드러났다. 이는 혜원의「전신첩」이 가지고 있는 글로컬리즘적 심미경계이며 한류의 원형이다.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글
 Ⅱ. 「전신첩」의 구성과 미학적 특질
 Ⅲ. 혜원 「전신첩」의 글로컬리즘적 심미경계
 Ⅳ. 혜원 「전신첩」의 현실적 의의
 Ⅴ. 나오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윤희 Kwon, Yunhee. 조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