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묵자의 귀신관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Mozu’s Philosophy of Ghost

이계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cording to Mozu, order among human society is built and maintained by the intentional cooperation of the Heaven, Ghosts, and good-willed People. The Heaven is a sublime presence and the law of the world itself. People, however, against the will of Heaven, struggle and injure each other like chaotic beasts. Here comes the necessity of Ghosts who execute reward and punishment by the decision of Heaven, to promote the good will among People, in the middle of Heaven and People. In this sense, the philosophy of Mozu about the Ghosts shows a practical, utilitarian and political approach. Unlike the other philosophers of 2,500 years ago, who broke out of the world of mysterious power and chaotic ghosts, and then rearmed themselves with the universal and logical humanity spirit, Mozu becomes more concentrated on the Ghosts when he realizes the disparity between the reality and the ideal. Mozu believes the greed of People is too strong to provide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n equal and affluent society with the belief of harmonious consensual community. For Mozu, who is a pragmatic idealist, the transcendental power of Ghost-worship among the People looks like the only power he can depend on, when he does not possess any other means of organizing the underprivileged-class or traveling warriors into power groups. Mozu is a political use of ghosts for the ultimate goal of prevent war.

한국어

묵자가 볼 때, 인간사회의 질서는 하늘, 귀신, 그리고 선한 의지를 가진 사람들의 의도적인 협력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또 유지된다. 하늘은 지고한 존재이면서 그 자체가 세상의 법도이다. 그런데 인간은 이러한 하늘의 뜻과는 달리, 서로 싸우기만 하고 헤치며. 어지럽기가 짐승과 같다. 그래서 인간의 선한 의지를 북돋기 위하여 하늘과 인간의 중간에서, 하늘의 뜻에 따라 상과 벌을 대행하는 귀신이 필요한 것이다. 그런 면에서 묵자의 귀신관은 공리적이고 실용적이면서도 정치적이다. 약 2500년 전에 다른 사상가들은 괴력난신의 세계에서 벗어나 보편적이고 합리적인 인문정신으로 재무장해가고 있는데, 묵자가 오히려 귀신을 파고든 까닭은 아마 현실과 이상의 괴리가 너무 컸기 때문인 것 같다. 묵자가 보기에 ‘천하무인(天下無人)’을 통해 ‘안생생사회(安生生社會)’를 건설해 나가기에는 인간들의 탐욕이 너무 컸고, 하층계급 내지 유협집단(遊俠集團)을 조직할 근거가 빈약하였다. 그러한 가운데, 실용주의로 무장한 이상주의자인 묵자가 힘을 빌릴 수 있는 것은 민중 사이에 널리 퍼져 있는 귀신신앙의 초월적 힘이었다고 본다. 묵자는 궁극적 목표인 치란(治亂)을 위하여 귀신을 정치적으로 활용한 것이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묵자 귀신관의 연원
  1) 하의 귀신관
  2) 은의 귀신관
  3) 주의 귀신관
 3. 묵자의 귀신관
  1) 천관(天觀)을 통해 본 귀신의 존재 의의
  2) 귀신의 지위와 역할
 4. 묵자 귀신관의 사회적, 정치적 의미
 5.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계석 Lee, Gye-Suk. 충남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