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상의 삶과 효 윤리 - 하서 김인후의 「효부」(孝賦)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Daily Life and Ethics of filial Piety - Focusing on Hyobu (孝賦: filial Piety) of Haseo Kim Inhoo -

소현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deological meaning of the ethics of filial piety in Hyobu of Haseo (河西) Kim Inhoo (金麟厚, 1510-1560) and to analyze and explain the contents of Hyobu and its premise. It is my intention to reveal a Confucian figure who is trying to reach the ultimate level of fulfilling one’s nature and achieving the vocation (盡性至命) by recognizing and practicing the daily life and the values in it. For this purpose, not limiting the meaning and value of filial piety to the ethics of individual feeling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but by interpreting it more broadly as ritual acts that link the present and the past, this world and the other world, life and death, and as acts of social and political field, I tried to broaden the horizon of the understanding of filial piety which was somewhat narrow and limited in the meantime. But the ethical significance of filial piety is not limited to this. It has a more essential meaning in terms of a means and a process of completing goodness through one’s efforts in daily life. In the end, filial piety is a moral virtue and ethics that should be performed on the basis of daily life. Its Confucian rationale is diverse, but I tried to explain in the theory of Cheng-Zhu school (程朱學) saying that "going to things and studying them deeply (卽物窮理)" and "fulfilling one’s nature and achieving the vocation (盡性至命) must be essential in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It can be confirmed that Haseo was also clearly aware of this. In the concrete analysis of Hyobu, I paid attention to firmly establishing a base for rooting (立定根基). This is the problem issued by Haseo running throughout Hyobu. Haseo's interest in Hyobu was to try to lay down filial piety from the fundamental dimension instead of explaining how to act as a concrete practice. In addition, Haseo accepts filial piety as a joy of life, "singing here, enjoying it here, respecting it for thousands of years and strolling" and not as a heavy duty.

한국어

이 글은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 1510-1560년)의 「효부」에 담긴 효 윤리의 사상적 의미를 이해하고 「효부」의 내용과 그것의 전제가 되는 사유를 분석하고 설명하려는 목적 하에서 쓴 글이다. 일상의 삶과 그 속에 스며있는 가치를 인식하고 그것을 실천함으로써 진성지명(盡性至命)이라는 궁극적 경계에 도달하려는 한 유학자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드러내 보이려는 것이 이 글에 담겨 있는 필자의 의도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효의 의미와 가치를 부모와 자식 간의 개인적 정감의 윤리에 한정하지 않고 현재와 과거, 이승과 저승, 삶과 죽음을 연결하는 의례적(儀禮的) 행위로 그리고 더 나아가 사회적 정치적 영역으로 확대하여 해석함으로써, 효에 대한 그간의 다소 협애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였다. 하지만 효의 윤리학적 의미는 여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의 노력을 통해 선을 완성해 가는 하나의 수단이자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보다 본질적인 의미를 갖는다. 결국 효는 일상의 삶이라는 기반 위에서 실천되어야 할 덕목이자 윤리이다. 그것의 유학적 근거는 다양하지만, 필자는 특히 “즉물궁리”(卽物窮理)와 “본성을 다하고 명을 지극히 하는 것은 반드시 효제에서 근본한다”[盡性至命]는 정주학의 이론 하에서 이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하서 역시 이에 대하여 분명하게 의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효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에서, 필자는 입정근기(立定根基)에 주목하였다. 이는 「효부」를 관통하는 하서의 문제의식이다. 「효부」에서 하서의 관심사는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효의 구체적 실천인지를 설명하기 보다는 효를 근본적인 차원에서 정초하려고 시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하서는 효를 고단한 의무로서가 아니라 “여기에서 노래하고 여기에서 즐기며, 만년토록 받들며 소요하는” 삶의 즐거움으로 수용한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일상의 윤리와 궁극적 가치
 3. 하서와 「효부」(孝賦)
 4. 일상의 삶과 효 윤리
 5. 입정근기(立定根基)
 6. 효의 실천 주체
 7. 효의 기반
 8. 효의 합리성
 9. 효의 즐거움과 그 경계
 10.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소현성 So, Hyun-Sung. 전주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