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Eco-Feminist The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A New Perspective of Creation” Focusing on Mary Elizabeth Moore’s Eco-Feminist Educational Theology

원문정보

Mary E. Moore의 생태여성주의 교육이론에 근거한 “창조에 대한 새로운 관점”

Hyeok-Su Cha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Christians who live in multi-cultural and rapidly developing society face two problems. The first problem we encounter is how to transmit Christianity to others in a multi-cultural world and pluralistic society. In the postmodern society in which we live, Christianity is surrounded by diverse religious pluralism. In this situation, what is the identity of Christianity? How can we teach the Gospel in this world? I think that this is the ultimate purpose of today’s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The second problem that we face is an ecological problem. It is not the problem of any one nation but an urgent challenge to all human beings. Therefore, within modern society, an ecological crisis is a serious issue throughout the world. Eco-systems, though they are creations of God, are being destroyed by human beings, and such a crisis is rooted partly in flawed convictions about the rights and powers of humankind in relation to the rest of creation. Nature is not private property to be handled with as one wishes. In spite of this, the destruction of nature by human beings still continues to this day. In light of these two issues, I think creation is a very important alternative theme of today’s theology. This study pursues theological perspectives that move toward harmony, solidarity, and integrity based upon creation. In particular, I want to deal with the problem of division between male and female, east and west, and humankind and the rest of creation; moreover, a trial to recover lost integration will also be presented in this study.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I will first introduce a diversity of theological views in relation to creation. One view that will be presented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eco-theology and eco-feminist theology, and another view deals with the difference between Eastern and Western theologies. Finally, the different valuations of creation and humankind will be discussed. Unfortunately, the issue of valuation begins from the common premise that human beings have a different status from the rest of creation. Humans tend to think that they are the rulers of all other members of creation. This, however, is a biased and flawed view. Secondly, I will develop the idea of ‘unity with diversity.’ I will delve into the doctrine of creation as a common feature of diversity because I believe that the solidarity of creation is a clue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se different poles. Through ‘creation,’ I will try to describe the encounter between two different poles. I will therefore make a special effort to find common contact points between the two. Lastly, in my proposal for the future, I suggest that solidarity in creation is a holistic alternative to the crisis of the natural world and the ecological balance. This study consists of four sections: introduction, diversity, unity, and conclusion. In this paper, I will pursue the idea of unity within diversity, based on the solidarity of God’s creation focusing on Mary Elizabeth Moore’s eco-feminist educational theology.

한국어

오늘날 다문화 시대 속에 그리고 빠르게 변화하며 발달하는 세계를 살아나가는 우리 기독교인들이 당면하는 두 가지 큰 문제가 있다. 그것 은 먼저, 어떻게 하면 이 다문화 다종교가 공존하는 세계 속에서 기독교 의 도를 다른 이들에게 전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우리가 살고 있 는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기독교는 다양한 종교적 다원주의에 둘러 싸 여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기독교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우리 그리 스도인은 어떻게 복음을 이 세상에 전해야 하는가? 이것은 오늘날의 기 독교교육의 궁극적 목적이기도 하다. 두 번째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문 제는 생태계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이제 단지 특별한 몇 나라의 문제가 아니라 온 지구공동체, 인류의 긴급한 문제이며 현대 사회에서 생태계 의 위기는 세계를 향한 심각한 도전이다. 하나님의 창조로서의 생태질 서는 인간에 의해 파괴되었다. 왜냐하면, 생태적 위기는 다른 피조세계 에 대한 결함이 있는 인간의 힘과 권리에 부분적으로 기인한다. 자연은 누군가의 욕구에 의해 결과 지어지는 사적인 소유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에 의한 자연 파괴는 세계 곳곳에서 끊임없이 자행되어 왔다. 이러한 두 가지 이슈에 비추어 볼 때, “창조신학”는 오늘날의 신학 에서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하나의 중요한 대안적 주제이다. 그러기에 본고는 “창조신학”에 근거한 화합, 연대, 통합을 향해 나아가는 신학적 견해를 다루고자 한다. 특별히 이 연구는 남성과 여성, 동양과 서양 그 리고 인간과 다른 피조물과 관계적 차원과 통전성을 위한 시도들을 할 것이다. 이 연구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첫 번째, 창조신학에 관계되는 다양한 신학적 견해들을 소개하려 한다. 이 섹션에서는 먼저, 생태신학 과 생태여성신학의 차이를 살펴볼 것이다. 둘째, 동양의 신학과 서양의 신학의 차이를 되짚어 보려 한다. 그리고 셋째, 창조신학과 인간의 가치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안타깝게도 이 이슈는 인간은 다른 피조물과 다른 지위를 가진다는 전제에서 시작된다. 인간들은 그들이 다른 모든 피조물들의 지배자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것은 그릇된 생각이다. 두 번째, ‘다양성 속의 일치’라는 이해를 주목해 보려 한다. 본고는 다양성 속의 공통분모로서의 창조신학의 교리들을 연구하려 한다. 왜 냐하면 다른 간극들 사이의 연결점으로서의 창조신학의 연대가 바로 실마리를 푸는 단서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나는 이러한 단서(창조신 학)를 통해 다른 사고들 사이의 만남을 설명해 보려 한다. 그러므로 이 다른 두 간극들 사이의 공통의 접촉점들을 찾기를 원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결론과 앞으로의 제언부분에서 나는 지구의 자연과 생 태계의 위기를 극복할 통전적인 대안으로서의 창조의 연대를 제안할 것이다. 이러한 내용들을 위해 이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그것은 서론, 다양성, 일치 그리고 결론이다. 이러한 이 연구의 구조적 틀과 모양 안에서 나는 현대의 대표적 기독교교육학자인 메리 엘리자 베스 무어(Mary Elizabeth Moore)의 생태여성신학적 교육이론에 근 거한 하나님의 창조의 연대에 바탕을 둔 다양성의 일치를 추구할 것 이다.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Diversity
  1. Difference between Eco-feminist Theology and Ecological Theology
  2. A Point of Difference between Western and Eastern theology
  3. Combining Stewardship and Partnership
 III. Unity-Common Features of Creation Theologies
 IV. Proposals for the Future: Solidarity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Rest of Creation
 V. Conclusion
 References
 한글 초록

저자정보

  • Hyeok-Su Chae 채혁수. Youngnam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