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과거 합격자 시맨틱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디지털 인문학 연구

원문정보

Digital Humanities, and Applications of the “Successful Exam Passers List”

이재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article, how the Bangmok(榜目) documents, which are essentially lists of successful passers for the civil competitive examination system of the Chosŏn dynasty, when rendered into digitalized formats, could serve as source of information, which would not only lets us know the Chosŏn individuals’ social backgrounds and bloodlines but also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intricate nature that the Yangban network had, will be discussed. In digitalized humanity studies, the Bangmok materials, literally a list of leading elites of the Chosŏn period, constitute a very interesting and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Based upon these materials, we can see how the society -as well as the Yangban community- was like. Currently, all data inside these Bangmok lists are rendered in XML(eXtensible Makrup Language) format and are being served through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so anyone who would want to examine the statistics could freely do so. Also, by connecting the data in these Bangmok materials with data from genealogy records, we could identify an individual’s marital relationship, home town, and political affiliation, and therefore create a complex narrative that would be effective in describing that individual’s life in particular. This is a graphic database, which shows-when Bangmok data is punched in-successful passers as individual nodes, and displays blood and marital relations in a very visible way. Clicking upon the nodes would provide you with access to all kinds of relationships formed among more than 90 thousand successful passers, and even the overall marital network, once the genealogical data is input. In Korea, since 2005 and through now, the task of digitalizing data from the Civil exam Bangmok(Mun-gwa Bangmok), Military exam Bangmok (Mu-gwa Bangmok), the “Sa-ma” Bangmok and “Jab-gwa” Bangmok materials, has been completed. They can be accessed through a website(http://people.aks.ac.kr/index.aks) which has information on numerous famous past Korean individuals. With this kind of source of information, we are now able to extract professional Jung-in figures from these lists. However, meaningful and practical studies using this data are yet to be announced. This article would like to remind everyone that this information should be used as a window through which we could see not only the lives of individuals, but also the society.

한국어

이 논문은 조선시대 과거급제자 명단인 방목의 디지털화 작업이 한 개인의 사회적 배경과 혈통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것을 뛰어넘어, 양반 사이의 다양한 관계망을 파악하는 자료로서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디지털 인문학에서 조선시대 과거 합격자의 명단인 방목은 대단히 흥미로운 자료다. 이 자료를 기반으로 조선시대 사회상을 엿볼 수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방목의 각종 데이터를 XML 문서로 만들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운영하고 있어, 필요한 항목을 추출하고 다양한 통계 자료를 만들 수 있다. 또 방목 데이터와 족보 데이터를 연결한다면 혼인 관계와 지역 연고, 당파 등 한 개인과 지역 사회에 대한 중층적인 스토리텔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미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는 2005년부터 현재까지 문과방목·무과방목·사마방목·잡과방목의 디지털화를 완료하였다. 이 작업의 결과는 현재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다. 조선시대 다양한 과거급제자의 명단을 망라한 이 작업으로 조선시대 지배엘리트로부터 전문직 중인의 명단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럼에도 아직 이 작업결과를 통해 의미 있는 활용들이 일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낱낱이 흩어져 있는 개인 정보들을 디지털 인문학이라는 학문적 접근을 통해 개인의 생애와 그 개인이 몸담은 사회의 심층을 들여다보는 창구로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래프 데이터베이스에 방목 데이터를 입력하면 급제자가 노드(node)가 되고 각 노드간 친족 관계와 혼인 관계를 시각적으로 살펴 볼 수 있다. 급제자들 상호 간의 인적 관계뿐만 아니라 여기에 족보 데이터를 추가하면 다양한 혼인 관계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문벌 가문의 단초를 한 눈에 알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이란?
 Ⅱ. 방목의 전산화
 Ⅲ. 과거 합격자 시맨틱 데이터베이스의 구현
 Ⅳ. 조선시대 엘리트의 인적 관계망 구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재옥 LEE JAE OK.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