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임진왜란시기 합천지역의 의병 활동과 전투

원문정보

Military Activity and Combat in Hapcheon Area during the Imjin Invasion Period

곽낙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righteous army activity and combat in Hapcheon during the Imjin invasion period. The resulting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Chung In-hong raised a righteous army in Hapcheon and Kim Myeon raised an army in Goryeong. Chung In-hong commanded the army and fought against Japanese army with a leadership of knowing the enemy and himself, and Kim Myeon commanded the army and fought against Japanese military with a leadership of harmony. Second, battles of Chung In-hong's righteous army are the first Mugye battle, the ambush battle in Sawon-dong, the Chogye Majin battle, the Aneon battle, and the third Seongju Castle battle. Battles of Kim Myeon's righteous army are the Yeongang battle, the Gaesanpo battle, the second Mugye battle, the Ucheok-hyeon battle, the Jirye battle, and the Sarangam battle. Battles that Chung In-hong and Kim Myeon united and fought are the first and second Seongju Castle battles. In Jeongyu Jaeran, Chung In-hong played a role of Jodosa who takes charge of provisions in the right area of Gyeongsang. In addition, Hapcheon was the access road and transport route where Japanese army entered Jeolla-do. Third, participation and role of Ming troops are part of restraint device against Japanese army with military tactics of ii chei(using foreigners to control foreigners) to remove Japanese army from Joseon and defend Yodong. After a victory of Li Rusong in Pyeongyang Castle in January, 1593(the 26th year of Seongjo), Ming troops pursued practical interest through peace talks rather than active battles. When there was practically Siege of Jinju, Yujeong troops of Ming entered with hand-to-hand martial arts of Sacheon soldiers in late June, 1593, but did not participate because they should wait for orders of Gyeongnyak Song Eung-chang and Admiral Li Rusong. Fourth, in the Imjin invasion period, Joseon suffered terrible damage such as ruin of the whole country by invasion of Japanese army and in need of aid of military rice from Ming troops, but righteous armies and the royal forces in each area cooperated so defeated Japanese army. It is understood through a case of Hapcheon in the right area of Gyeongsang. Especially, Joseon did not succumb to pressure of Ming troops that used full powers to two aspects such as settlement and battle with Japan during the war, and did not lose national confidence and pride by showing a fighting will to fight against Japanese army to the end with independence. Such a spiritual culture originated from homeland protection and loyalty to the king, and is national spirit of resistance that sublimates the united mind and spirit of community to protect a country against foreign invasion.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임진왜란 시기 합천지역의 의병활동과 합천지역의 전투를 조명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인홍은 합천, 김면은 고령에서 의병 창의를 하게 되었다. 정인홍은 지피지기의 리더십을, 김면은 조화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의병을 이끌고 일본군에 대항하였다. 둘째, 정인홍 의병군의 전투는 1차 무계전투, 사원동 복병전투, 초계 마진전투, 안언전투, 3차 성주성전투이다. 김면 의병군의 전투는 연강전투, 개산포전투, 2차 무계전투, 우척현전투, 지례전투, 사랑암전투이다. 정인홍·김면이 연합하여 싸운 전투는 1차 성주성전투, 2차 성주성전투이었다. 정유재란시기 정인홍은 경상우도의 군량을 책임지는 조도사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합천지역은 일본군이 전라도로 들어가는 진입로이자 수송로였다. 셋째, 명군의 참전과 역할은 일본군을 조선에서 몰아내고 요동을 방어하는 이이제이의 전술과 함께 일본군을 대항하는 견제 장치의 한 방편이었다. 1593년(선조 26) 1월 이여송의 평양성 전투 승전 이후, 명군은 적극적인 전투보다는 강화협상을 통한 실리를 추구하였다. 실제적으로 진주성전투가 벌어졌을 때, 명군의 유정 부대는 1593년 6월 말에 사천병의 단병무예를 가지고 입성하였으나, 경략 송응창과 제독 이여송의 명령을 기다려야 한다는 이유로 참여하지 않았다. 넷째, 임진왜란 시기 조선은 일본군의 침략과 명군의 군량미 원조 등 전국토가 폐허로 참담한 피해를 입었지만, 각 지역의 의병과 관군이 협력하여 일본군을 물리쳤다. 경상우도 합천지역의 사례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조선은 전쟁기간 중에 일본과의 강화와 전투의 두 가지 측면에서 전권을 행사하였던 명군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고, 주체성을 내세워 일본군과 끝까지 싸우겠다는 항전의지를 보임으로써 민족적 자신감과 긍지를 잃지 않았다. 이러한 정신문화는 향보와 근왕의식에서 비롯되었으며,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나라를 지키고자 했던 지역공동체의 하나 된 마음과 정신이 승화된 민족의 저항정신이었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합천지역의 의병활동
 Ⅲ. 합천지역의 전투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곽낙현 Kwak, Nak-hyun.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