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life and poetry of Dokshok Hwang Hyok. In Chapter 2, we looked at the life of Hwang Hyok. There are two characteristics in the life of Hwang Hyok. First, Hwang Hyok had excellent literary talent. Secondly, Hwang Hyok wrote in an attempt to surrender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Japan. That is why he lived a 21 year detained life. In Chapter 3, we looked at poetry based on the life of Hwang Hyok. The features of poetry are as follows. First, the image of Somu and reality of Tiger and Dhole go around. Hwang Hyok lived a confined life because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Because of that, Hwang Hyok recognized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Imperial Japan as a world where Dhole and tigers travel around. It symbolized the image of Sommu that he did not surrender. Second, Changsha, is the world and Gulwon images. Changsha is Gulwon the space of self-destruction. Hwang Hyok likened his dark life to Gulwon dead. This is because Hwang Hyok's life is similar to Gulwon's life. In other words, Hwang Hyok was most appropriate to compare his tough life to Gulwon, who drowned in Myeoglasu.
한국어
본고는 獨石 黃赫의 생애와 시세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고가 황혁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황혁이 문학적으로 상당한 재능이 있었음에도 우리 문학사에서 조명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황혁의 시세계를 탐색하는 일은 유배시의 외연을 넓힌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 황혁의 생애를 검토하였다. 황혁의 생애에서 주목되는 점은 황혁이 해동강서시파로 평가받는 부친 황정욱의 문재를 이어받았다는 것이다. 그가 문과에 장원급제를 한 후 10년간 빠르게 진급하여 통정대부까지 오른 사실은 황혁의 뛰어난 문재를 방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황혁의 생애에서 또 하나 주목해야 할 점은 그가 임진왜란 때 작성한 항복권유문으로 인해서 20여 년의 긴 유배생활을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유배의 배경으로서 기존의 그것과 변별되는 지점이고, 이는 황혁의 독특한 시세계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3장에서는 2장을 바탕으로 황혁의 시세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豺虎의 現實, 蘇武의 이미지’이다. 임진왜란은 황혁의 뇌리 속에 강하게 자리 잡은 나쁜 기억이었다. 왜냐하면 황혁이 긴 유배에 처하게 된 발단이 임진왜란 때 항복권유문을 썼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황혁은 임진왜란 때의 현실을 ‘豺虎가 우글거리는 혐오스런 현실로 인식했으며, 결백한 자기 자신을 흉노에게 사신 갔다가 억류된 蘇武로 비유하였다. 둘째, ‘長沙의 現實, 屈原의 이미지’이다. 황혁은 암담한 유배지에 놓인 자신을 굴원으로 비유하였다. 이는 항복권유문을 모함한 북인에 의해 유배를 가게 된 자신을, 간신들의 모함을 받고 배척된 屈原과 동일시하려 했기 때문이다. 독특한 점은, 황혁이 굴원의 이미지를 가져오되, 長沙라는 공간으로 한정했다는 것이다. 長沙는 굴원이 투신자살한 멱라수가 있는 곳이다. 황혁은 굴원이 최후를 맞이한 장사를 통해 항복권유문이라는 치명적인 죄에서 벗어날 수 없었던 자신의 암담한 처지를 보여주고자 했던 것이다.
목차
Ⅰ. 序論
Ⅱ. 黃赫의 生涯
Ⅲ. 黃赫의 詩世界
1. ‘豺虎’의 現實, ‘蘇武’의 이미지
2. ‘長沙’의 現實, ‘屈原’의 이미지
Ⅳ. 結論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