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분포 분석을 통한 전통상업보존구역의 타당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oblems of Traditional Commercial Activity Protection Zone by analysing the spread of Traditional market and Hypermarket

박다솜, 이민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inadequacy of Traditional Commercial Activity Protection zone by analysing the spread of Traditional market and Hypermarket in the 6 major metropolitan cities of Korea. As a result, first, there are more cases that the trading area is not overlapped between traditional market and hypermarket than it is overlapped. It is found that the overlapped trading areas are mostly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6 major cities. And there are fewer overlapped trading areas as further away from the center of the city. Second,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raditional market and nearby hypermarket is over 1km. It means that legal criteria is not enough to restrict a new hypermarket in the center of the city and it is no use when applied to where is not center of the c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 to the effective policy of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market and regulations of hypermarket. In addition, existing ordinance should be supplemented or amended for each metropolitan city in accordance with there own circumstances.

한국어

본 연구는 6대광역시 내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분포현황을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전통상업보존구역의 부적절성을 입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6대광역시 분석결과, 첫째,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상권이 중복되는 지역보다 그렇지 않은 지역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권이 중복되는 지역은 6대광역시의 도심에 주로 분포하였고, 도시 외곽으로 갈수록 전통시장과 대형마트가 개별적인 상권을 형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6대광역시의 전통시장과 인접한 대형마트와의 평균 거리는 1km를 벗어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현재의 전통상업보존구역이 도시외곽지역에서는 실효성이 없으며, 도시중심지역에서는 대형마트 진입을 제한하기에는 부적절한 수치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효과적인 전통시장 활성화 및 대형마트 규제를 위해서, 6대광역시에서는 지역의 상황에 맞게 조례를 수정 및 보완하여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상생방안을 마련해야 하고,「유통산업발전법」의 재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고찰
  2.1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에 관한 이론적 고찰
 3.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분포 분석
  3.1 6대 광역시 전통시장·대형마트 분포 현황
  3.2 전통시장 및 대형마트 거리 분석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박다솜 Park, Da-Som. 전남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과정
  • 이민석 Lee, Min-Seok.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부교수, 공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