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ffect of a Smartphone Addition on Stress and Resilience in University Students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stress and resilience in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241 students attending a four-year university in South Jeolla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6 until August 31, 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tress (r=.37, p<.001), as well 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resilience (r=-.32, p<.001)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 (r=.-21, p=.001). The variables for smartphone addiction where “academic problems” (β=.15, p=.047) and “the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 (β=-.21, p=.007), with a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²) of 22.1%.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ystematic approach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스트레스, 회복탄력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 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남도 소재 4년제 대학생 241명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6일부 터 8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과 스트레스(r=.37, P<.001)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 으며, 회복탄력성(r=.-25, p<.001)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스트레스 중 당면과제(r=.40, p<.001)와 대 인관계(r=.25, p<.001)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복탄력성 중 자기조절능력(r=-.32, p<.001)과 대인관계능력 (r=-.21, p=.001)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학업문제(β=.15, p=.047)와 자기 조절능력(β=-.21, p=.007)으로 총 설명력(R²)은 22.1%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 한 체계적인 교과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연구목적
III.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자료수집
4. 연구도구
5. 자료분석
IV. 연구결과
V. 논의
VI.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