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통도사 금강계단 석조신장입상의 조형과 편년

원문정보

Four Guardian Sculptures at the Four Corners of Geumgang Gedan in Tongdosa

심영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four stone guardian sculptures at the four corners of the Geumgang Gedan (“Diamond Platform for Buddhist Ordination”) at the Tongdosa Monastery in Yangsan, North Gyeongsang Province, Korea. In the center of the top floor of the Guemgang Gedan, there is a bell-shaped stupa. Beneath the top floor, there is a guardian sculpture in each of the four outer corners. In one corner, there is a Lokapala sculpture, and in three corners there is a Vajrapani sculpture. It is presumed that initially, there were four Lokapala sculptures and the four Vajrapani sculptures in the late Goryeo Dynasty (918-1392 CE) to protect the Buddha’s sarira (relic) inside the bell-shaped stupa. The number ‘eight’ matches the Eight Devas “standing side by side at the four corners of the Geumgang Gedan” as described in Ganghui Eulyu Jungsugi, (Repair Report) written in 1705. The current four figures seem to have been rearranged from the original eight images as the four got lost after 1705 for unknown reasons. Since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the ordination ritual has been performed inside the main hall of Tongdosa, Daeungjeon (“Great Hero Hall”). Besides, the Eight Vajrapani Paintings were put inside the Daeungjeon during the ordination ceremony. Therefore, it has been assumed that the role of the eight devas at the platform, which is to protect both the Buddha’s relic and the holy place where the ordination ritual is performed, may have been handed down to the Eight Vajrapani Paintings. The Diamond Platform consists of two stories similar to the platform of the Golden Halls and Stupas established mainly between the 6th and 9th centuries in Korea. Therefore, the two-storied form of the Platform can be interpreted as a reflection of the perception of ancient Koreans about the holy place where Buddha statues or Buddha’s relics were consecrated.

한국어

이글은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의 네 귀퉁이에 봉안된 석조신장입상의 도상과편년 및 그 전승에 대해 다루고 있다. 통도사 금강계단 신장상은 그간 사천왕상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이 글에서는 도상 분석에 근거하여 동북방의 상을 사천왕상으로, 나머지 3구를 금강역사상으로 보았다. 제작시기는 고려말로 추정하였다. 이 글에서는 1705년의 󰡔강희을유중수기󰡕에서 언급한 ‘금강계단 사방 네 귀퉁이에 팔부가 줄지어 서 있다(四方四隅八部列立)’는 구절을 통해, 원래는 사천왕상과 금강역사상이 각각 4구씩 총 8구가 배치되어 있었다고 보았다. 현재의 모습은1705년 이후의 어느 시점에 4구가 결실되고 사천왕상 1구와 금강역사상 3구만 남게 되어 재배치된 결과로 본 것이다. 또한 18세기 중반 이후 통도사 대웅전 내부의 수계의식에서 사용되는 <팔금강도>에는 이러한 8구의 신장상이 가지고 있던불사리와 도량수호의 역할이 계승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조심스럽게 추론해 보았다. 중국 당 도선의 󰡔계단도경󰡕에서는 계단의 구조를 3층으로 규정함에 비해, 통도사 금강계단이 2층으로 구성된 것은 삼국시대 이래 우리나라 금당과 탑파의 전형이었던 이중기단과 일맥상통한다고 보았다. 즉 우리나라 계단의 2층 형식은 계단상부에 놓이는 불사리의 봉안처에 대한 고대 한국인들의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해석한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금강계단 석조신장입상의 도상
 Ⅲ. 금강계단 석조신장입상의 조성시기
 Ⅳ. 금강계단의 구조와 석조신장입상의 배치
 Ⅴ. 금강계단 석조신장입상의 역할과 전승
 Ⅵ.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심영신 Shim, Yeoung-Shin. 숭실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