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여순항쟁의 왜곡과 반공문화 - ‘반란실정 문인조사반’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Distortion and Anti-communism culture of Yeosun Resistance - Focus on the Writer-investigation party -

주철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n October 19, 1948, the Yeosu-stationed 14th regiment refused to obey the suppression order of the Jeju 4·3 Resistance. This was called the ‘Yeosun Resistance’. The Yeosun Resistance that broke out only two month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a big shock for the Syngman Rhee government. It was also a chance to change the flow of the political situation. After the Yeosun Resistance the Syngman Rhee government persecuted opponents and monitored the nation at all times in the name of combating the leftists. That is, this was a transition to a dichotomous social structure and Anti-communism that was internalized for the nation’s morale. It was disguised as ‘Security’ or an‘Anti-Communist’ stance. However, there was a limit to using law or institutional arrangements in forming an anti-communism culture and a dichotomous social structure. The government needed strategic measures to build national consensus and public opinion by mobilizing an important intellectual, cultural, artistic or religious figure in the society. Therefore, the government promoted on-site visits by forming a ‘Writer-investigation party (문인조사반)’ into the center of a cultural artist of the time. The force of the Writer-investigation party’s written style contributed to the stability of Rhee’s governmental system and had helped to reorganize the social structure in its entirety. This also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the anti-communism culture, systematizing national consensus and public opinion. The Writer-investigation party distorted and fabricated the Yeosun Resistance without verifying the facts. They did this by using information from soldiers and civil servants and by adding their characteristic imagination. In the process of consolidating the Yeosun Resistance as a negative image, as the communist ‘Bbalgangi’, ‘revolt’. The Writer investigation part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Yeosun Resistance.

한국어

1948년 10월 19일 여수주둔 제14연에서 제주4·3항쟁의 진압 명령을 거부하면서 촉발한 사건을 ‘여순항쟁’이라 일컫는다. 여순항쟁으로 많은 민간인 학살되었음은 주지 의 사실이다. 한편, 한민국 정부수립 2개월 만에 발발한 여순항쟁은 이승만 정부에게 는 커다란 충격이었으며, 정국의 흐름을 변화시킬 기회이기도 했다. 이승만 정부는 여순항쟁을 계기로 좌익세력 척결이라는 미명으로 반세력을 탄압하 고, 국민 감시 체제를 일상화하였다. 즉 반공주의를 국민의 도덕으로 내면화시키고 ‘안 보’ 또는 ‘반공’으로 위장한 반공문화와 이분법적 사회구조로의 전환이었다. 하지만 반공 문화와 이분법적 사회구조의 형성에는 법적·제도적 장치만으로 한계가 있었다. 정부는 지식인, 문화예술인, 종교인 등 사회 유력 인사를 동원하여 국민적 공감와 여론을 형성하기 위한 전략적 차원의 응이 필요했다. 따라서 당의 문화예술인들을 중심으로 ‘반란실정 문인조사반’을 구성하여 현지 방문을 추진했다. 문인조사반의 필력 은 이승만 지배체제의 안정을 도모하며, 사회구조를 전면적으로 재편시키는데 일조했다. 그리고 국민적 공감와 여론형성을 조직화하면서 반공문화를 형성하고 확산하는데도 기여했다. 또한 문인조사반은 사실관계를 확인하지 않은 채 군인과 공무원 등으로부터 입수한 정보에 문인 특유의 상상력을 가미하여 여순항쟁을 왜곡하고 조작했다. 여순항쟁이 ‘빨 갱이’, ‘반란’, ‘공산주의자’란 부정적 이미지로 공고화되는 과정에는 문인조사반의 역할이 지대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문인조사반의 구성과 글
 Ⅲ. ‘반란’의 인식과 문인의 반공주의
 Ⅳ. 문인의 상상력과 여순항쟁의 왜곡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주철희 Joo, Cheol-hee. 여순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