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술 콘텐츠 분야

무용작품 <닿을 수 없는> 연구 - 소마체험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f Dance Work <Cannot reach> - Focusd on Somatic Exprience -

천소정, 조기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presents the somatic experience that the researcher, who is a choreographer and dancer, had in the process of planning, choreographing, practicing, and performing his own dance work called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cribe and discover the significance of the self-consciousness and awareness of the body raised by concentrating on the soma during the developmental stage and performance of the work. Thomas Hanna(1928-1990) discusses Soma in his somatics. Soma refers to a holistic and integrated ‘body’ in which intelligence, emotion, and spirituality are integrated, distinguishing it from the body that emphasizes the body. The main method used for the study was Practice Based Research and the study also incorporates a literature review. It also analyzes every stage of the dance work through a practice based research, and all the somatic data and choreography notes, gathered through the bodily experience at the stages, were used as primary sources. The study delineates the following results from investigating the work with a somatic experience. First, by devising a new approach for the body through Somatics, it was possible to achieve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about the soma. Second, in the process of choreographing the dance, it was possible to construct unique movements by concentrating on the soma and using imagination. Third, in warming up the body before practice, the somatic learning mitigated unnecessary nervousness and produced more natural and smoother movements. It is desired that the study will help a dancer to recognize in more profound ways that one’s body is the principal source of a dancer’s art and life.

한국어

본 연구는 본 연구자의 무용작품 <닿을 수 없는>의 구상, 안무, 연습 및 공연의 전 과정에서 안무가이 자 무용수인 본 연구자의 소마(soma) 체험을 연구한 것으로, 토마스 하나(Thomas hHanna, 1928~1990)는 자신이 창안한 몸학(somatics)에서 소마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 소마는 육신을 강조한 신체 (body)와 구별해서 지성, 감성 그리고 영성이 통합되어 있는 전인적이고 통합적인 ‘몸’을 말한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실기기반연구법(Practice Based Research)을 중심으로 하면서 문헌연구도 병행 하였다. 우선 토마스 하나의 몸학(somatics)을 중심으로 소마(soma), 소마의 체험양식, 소마의 의식과 각 성의 개념은 문헌연구법을 통해서 정리하였다. 소마체험을 중심으로 본 연구자의 무용작품 <닿을 수 없는>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몸학 (somatics)을 통해 몸의 새로운 접근법을 연구함으로써 내 자신의 소마뿐만이 아니라 생명체인 소마에 대 해서 깊이 있고 폭넓게 인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럼으로써 몸의 겉모습에 치중하고 몸을 육신(body)으로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몸을 주체적이고 총체적인 존재로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안무하는 과정에서 소마에 집중하고 상상을 통해 움직임을 탐구함으로써 내 자신만의 창의적인 움직임을 찾아 낼 수 있었다. 셋째, 몸을 움직이기 위한 준비 단계와 작품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긴장을 완화시킴으로써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움직임이 가능해졌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2 연구방법 및 연구절차
 Ⅱ. 소마체험에 대한 이해
  2.1 소마의 개념
  2.2 소마의 의식과 각성
 Ⅲ. <닿을 수 없는>의 소마체험 연구
  3.1. 작품분석
  3.2 소마체험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천소정 Cheon, So-Jung.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무용학과
  • 조기숙 Ki-sook Cho.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