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ausal structural model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job characteristics and teacher empowerment associated with educational outcomes of business high schools.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1) to analyze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characteristics on educational outcomes, 2)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cher empowerment on educational outcomes, 3) to analyze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characteristics on teacher empowerment, 4)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mpowerment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outcomes.
Data were collected from 261 teachers in business high schools(response rate: 70.2%). After screening the data 229 respons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SPSS program for window and LISREL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The statistical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estimating parameters by maximum likelihood method. Path coefficients were tested for t-tests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5.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this analysis revealed a generally fit to the data: x²=169.12(p<.05); x²/df=60; GFI=.90; CFI=.90; IFI=.91; NNFI=.88.
2.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s on educational outcomes(β=.34, p<.01).
3. Teacher empowerment had positive effects on educational outcomes(β=.37, p<.01).
4. Job characteristics had positive effects on teacher empowerment(β=.79, p<.01).
5. The indirect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educational outcomes were mediated by teacher empowerment(β=.29, p<.01).
한국어
상업계 고등학교가 대내외적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미래의 교육기관으로 존속하기 위해서는 교육성과의 개념 정립과 그 영향 요인 탐색 노력이 긴요한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상업계 고등학교의 교육성과 인과모형을 구안하고, 구조분석을 통하여 교육성과와 그 영향 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LISREL을 이용한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x² , GFI, CFI, IFI, NNFI를 이용한 가설적 인과모형 검증 결과, 전반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최초 가설적 인과모형의 간명화를 위해 수정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영향 요인 가운데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교육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34, p<.01), 교사의 임파워먼트도 교육성과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37, p<.01). 또한 직무특성이 교사의 임파워먼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79, p<.01), 직무특성은 교사의 임파워먼트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교육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간접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β=.29, p<.01).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가설
4. 연구의 제한
Ⅱ. 이론적 배경
1. 교육성과의 개념과 측정
2. 교육성과와 교사의 임파워먼트와의 관계
3. 교육성과와 교사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3. 자료처리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1. 가설적 인과 모형 검증 결과
2. 가설적 인과모형의 수정
3. 수정모형의 변인간의 관련성 검증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