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평양기생학교를 통해 본 전통춤 전승 양상

원문정보

The Transmission Patterns of the Traditional Dance through the Pyeongyang Gisaeng School

윤영숙, 김호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ous aspects of the traditional Korean dance at the Pyeongyang Gisaeng School and the ways that their culture was transmitted through their activities. There is no doubt that the perceptions of Gisaeng have been negative or narrow-minded. Furthermore, Gisaeng has become a symbolic image of sexuality, and the narrow-minded stereotype of Gisaeng still remains today. However, there exists counter-discourse that enables a re-conceptualization of Gisaeng as the symbol of a cultural archetype. It is also necessary to assess them as the pioneers of modern culture creation. The Pyeongyang Gisaeng School, in particular, produced many entertainers in the early modern days through a stable and sustainable educational system. The school provided whole person education based on its systematic process and content to produce a host of entertainers instead of limiting its scope only to art. Dance education was allocated to the upper grades so that the students could take on the practice of dance after equipping themselves with the basics including music. I The school also embraced contemporary art in its educa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rather than remaining at the level of the tradition. This foundation of the school contributed to the big number of Gisaengs from Pyeongyang recorded in Yedanilbaekin and Joseon Mi-In Bogam and the popularity they enjoyed among the public through their various performance activities.

한국어

이 연구는 평양기생학교에 나타난 한국 전통춤의 여러 모습을 살피고 그들의 활동 양상을 통해 문화 전승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기생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이거나 편협한 생각 속에 놓여 온 것이 사실이다. 게다가 섹슈얼리티의 상징처럼 이미지화되어 제한된 인식과 그에 따른 고정관념으로 남아있기도 하다. 그렇지만 이들은 문화원형의 기호(記號)로 평가받을 담론이 존재하며 근대 문화 창조의 선구자로 제대로 된 평가를 받을 필요가 있다. 특히 평양기생학교는 근대 초기에 안정적이면서도 지속적인 교육 제도를 통해 많은 예인을 배출한 곳이다. 이들의 교육 방식은 체계적인 과정과 내용으로 예술에만 머문 것이 아닌 전인교육을 통해 많은 예인을 양성하다. 또한 무용교육의 경우 고학년에 배치하여 음악 등의 기본이 갖추어진 뒤 실습을 하고, 전통에만 그친 것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에 따라 동시대적 예술도 수용하여 교육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바탕은 「예단일백인󰡕과 󰡔조선미인보감󰡕에서 평양출신 기생이 다수를 차지하고, 다양한 공연 활 동을 통해 대중의 사랑을 받은 모습에서 그 공(功)을 찾을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평양기생학교의 교육 과정 및 공연 활동
  1. 평양기생의 역사적 의미
  2. 평양기생학교의 교육제도
  3. 평양기생의 다양한 활동 양상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영숙 Yun, Youngsuk. 국악중학교
  • 김호연 Kim, Hoyoen. 문화연구소 케이코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