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북한춤의 전통성과 현대성에 관한 一考察 : 『 조선예술』의 무용기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of North Korean Dance : Focused on Dance articles of Joseon Art

북한춤의 전통성과 현대성에 관한 일고찰 : 『 조선예술』의 무용기사를 중심으로

김채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I examined how the succession and modernization of tradition has been emphasized through the articles related to dance in North Korea’s comprehensive art magazine Joseon Art focusing on its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The research method was centered on literature analysis and image analysis. In the literature, from the first issue of 1956 to the first of June 2000, 344 out of 468 articl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articles has focused on the discussion on the issue of inheriting and developing the people's dance heritage among the anti - revolutionary dance heritage and ethnic classical dance heritage. Based on socialist realism as a principle in succession and development, discourses in the articles have emphasized revolution in contents and have tried to create dance based on nation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form. I can see that the articles have strived to present the dance as a means of educating people’s ideology. The contents discussed in the Joseon Art from the 1950s to the 1970s were found to be further developed in the later period. North Korea has developed dance that promote the superiority of the Korean people based on Juche ideology. It was found that the principles related to dance decided before the 1980’s have continued in the “invariant law”.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북한에서 발행하는 종합예술잡지『조선예술』에 실린 무용관련 기사를 통해 전통의 계승과 현대화 작업이 어떻게 강조되면서 진행되어 왔는지 전통성과 현대성을 중심으로 고찰하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과 상분석을 중심으로 진행하는바, 문헌은 1956년 창간호부터 2000년 6월호 까지를 대상으로, 각 호별 차례 면에서 무용항목을 검색하여 전체기사 468편 가운데 수집 가능했던 344편의 기사를 검토, 분석하다. 또한 시청각자료를 활용하여 무용작품에서의 전통성과 현대성 구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북한에서는 무용에 있어서 항일혁명무용유산과 민족고전무용유산 가운데 인민적 무용유 산을 계승, 발전시키는 문제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진행되어 왔음을 파악했다. 또한 계승과 발전에 서의 원칙으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입각해 내용면에서는 혁명성을 강조하고 형상면에서는 민족적 특성을 바탕으로 하는 무용창작에 힘쓰며, 이를 인민의 사상교양수단으로 복무시키는데 힘써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예술』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된 명제는 ‘민족적’, ‘혁명적’, ‘혁명전통’, ‘현대성’, ‘진실성’ 등으로 축약된다. 이 명제에 관련한 여러 다양한 논의들은 사상내용적 측면과 창작형상적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다뤄지고 있으며, 1950년대부터 1970년대에 논의된 내용들은 그 이후 시기에서 더욱 심화되면서 전개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조선예술』의 기사를 통해 여실히 드러나는 것은, 북한은 주체 사상을 기조로 조선민족의 우월성을 내세우는 다양한 방침과 시책 하에 무용예술의 계승과 창조, 발전 을 꽤해 왔으며, 그것은 1980년대 이전에 결정된 무용예술의 제반사항들이 ‘불변의 법칙’ 속에 이후시 기에도 지속되어 왔음을 엿볼 수 있었다는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조선예술』에서 보는 무용기사
 Ⅲ. 『조선예술』에서 보는 전통성과 현대성
  1. 북한춤에서의 전통성
  2. 북한춤에서의 현대성
 Ⅳ. 작품에서 본 전통성과 현대성
  1. <고난의 행군>
  2. <강선의 노을>
  3. <돈돌라리>
  4. <목동과 처녀>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채원 Kim, Chaewon. 춤문화비교연구소장,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