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할린 한인동포 귀환과 정착과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turn and Policy of Sakhalin Koreans

박찬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ause which had to examine the life of the fellow Korean in Sakhalin and which they have to live as the stateless person. Also, the permanent return and on their settlement assignments will be examined. Sakhalin's history started while Japan occupied with Japanese victory in the Russia and Japan war in 1905. Immigration of Sakhalin koreans began in earnest while Japan mobilized them in the China-Japan War and Pacific War with the force. Sakhalin koreans who the force is migrated spent the life like the slave in the coal mine. Sakhalin Japanese were returned to Japan but the Sakhalin koreans was excluded due to Japanese defeat from the object at August 15th in 1945. Because their problem is not and sakhalin Korean countrymen problem is the problem of our people and government, it has to hurry the solution. The attitude of the government about the Sakhalin Koreans problem will be the standard judging the political position about the establishment of the legitimacy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people. In Conclusion, the history is paid off and the meaning the positive attitude of the Korean government is the various issue about the Northeast Asia deep in the initiative situation where it has to solve.

한국어

사할린은 일본 홋카이도 북쪽에 위치한 섬으로 러시아와 일본과의 조약에 의해 러시아의 영토로 확정 되었다. 사할린의 역사는 1905년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함으로써 사할린 남쪽을 일본이 점령 하면서 시작 되었다. 사할린으로 한인들이 이주하게 된 것은 일본이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을 수행하면서 일본에 의하여 강제 동원되면서 본격 화 되었다. 사할린에 강제 동원된 한인들은 주로 탄광에서 근무했는데 마치 노예와 같 은 생활처럼 비참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하면서 일본을 점령하고 있던 미국 은 소련과 협상하여 사할린에 있는 일본인을 일본으로 귀환 시켰으나 한인은 그 대상에 서 제외 되었다. 일본인 처를 따라 일본으로 귀환된 한인들은 박노학을 중심으로 1966 년 화태억류귀환한국인회를 조직하고 귀국을 희망하는 한인 7,000명의 명단을 입수해 일본, 한국 그리고 소련정부에 발송하고 귀국조치를 호소했다. 1989년 6월 한국의 국회 통일외교위원들이 한국 최초로 사할린을 공식 방문했으며 같은 해 9월 서울에서 개최된 한민족체전에 사할린에서 189명의 노인이 서울에 왔다. 당시에 민주당의 김영진 의원이 사할린동포 지원법을 발의했다. 식민지와 냉전체제가 남겨놓은 사할린 한인동포 문제는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국민의 문제이고 정부의 문제라는 것을 정부가 인식하고 근본적 해결을 서둘러야 할 것이 다. 이 문제는 시간이 지나면 해결의 의미가 없다. 사할린동포 1세들이 죽기 전에 하루 빨 리 마무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본과의 청구권 협상을 통해 유가족과 동포2세 3세에 대한 보상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무관 심과 냉대를 반성하는 자세로 정부는 최선을 다해야 하며 우리 사회의 지속적 관심도 중 요하다고 본다. 우선 정부는 사할린한인동포의 귀환과 정착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법안을 지체 없이 통과시켜야 할 것이다. 사할린동포 문제에 대한 정부의 태도는 대한민국의 정 통성의 확립과 자국민에 대한 정책적 입장을 판단하는 시금석이 될 것이다. 탈 냉전시대 과거 역사의 유산을 청산하고 동북아의 다양한 이슈를 주도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시점에 서도 정부의 전향적 태도는 그 의미가 높다고 하겠다. 이 논문에서는 사할린동포들의 처 음 처절한 삶을 살펴보고 한인들의 50%가 무국적자로 살아야만 했던 원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사할린 한인동포들의 영구적인 귀환과 그들의 정착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목차

요약문
 Ⅰ. 서론
 Ⅱ. 사할린동포 문제 발생
  1. 사할린 한인 동포의 역사
  2. 사할린 동포 현황과 특성
 Ⅲ. 사할린 한인 동포 귀환 추진 활동
  1. 종전 직후 미 군정기의 귀환 운동
  2.「 화태억류 귀환 한국인회」의 귀환 활동
  3. 한국정부의 귀환활동
  4. 일본 지원단체의 귀환활동
  5. 일본의 전후 책임 촉구 단체의 귀환활동
  6. 일본 국회의원 및 적십자사의 귀환활동
  7. 한소 수교 이후의 귀환활동
 Ⅳ. 주요 정책 이슈 및 대응 방안
  1. 동포 1세대 영주귀국 사업
  2. 귀국 동포의 국내 정착 및 생계 지원
  3. 대일 청구권 협상을 통한 후속 조치
  4. 법적 제도적 지원체제 구축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찬용 Park, Chan-Yong. 민화협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