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한국 신발산업의 수출 중심성 분석 - HS CODE 제6404호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alysis of the Centrality of the Korean Footwear Industry through Export Network Analysis - Focused on HS Code 6404 -

정세연, 이춘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Korean footwear industry was a major industry, but now it is being called a declining industry. However, throug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rade structure of HS 6404 (made up of textile materials of footwear upper)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flow, direction and structure complexity of the international trade network of the world sho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xport trade network centrality structure and to propose countermeasures. In this study, we analyzed NetMiner 4.0 program based on export statistical data of 69 count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HS 6404 Export trade linkage Degree centrality of footwear (outer soles of rubber, plastic, leather composition leather, upper fabric made of textile fibers) centered in China, Vietnam, Belgium, Indonesia and Germany in 2015 Respectively. Export trade Closeness centrality was analyzed in order of China, Italy, Germany, Spain, and France in 2015. Export trade Betweenness centrality was analyzed in order of Italy, Spain, USA, Germany, and Arab emile in 2015. In this study, we extracted and analyzed the information of shoes industry statistics provided by the shoe industry promotion center, and the information on imports and exports of the shoes. In order to foster shoes industry in Korea through network export centric analysis, introduction of fully automated production method of shoe, development of unique brand, and utilization of national brand through Korean wave culture were suggest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missing the HS6401 ~ 6406 analysis and the OEM export statistics data.

한국어

우리나라 신발산업은 과거 성장기 주요 산업이었으나 현재는 쇠퇴산업으로 불리고 있다. 하지만 제 4차 산업혁명을 통해 새로운 경쟁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 신발산업은 한때 저임금과 뛰어난 제조기술로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었다. 하지만 급격한 경제 성장과 정책으로 인해 산업구조의 고도화로 이어졌다. 인건비의 상승, 원재료 가격의 상승, 지가 상승 등의 어려움이 겹쳤다. 글로벌 기업의 OEM생산기지의 이전 등이 겹쳐 우리나라의 신발산업은 쇠퇴 할 수밖에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리 신발산업의 수출 무역네트워크 중심성 구조를 파악하여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69개 국가의 국가 간 수출입통계정보를 바탕으로 NetMiner 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15년 기준으로 HS CODE 제6404호 신발류(바깥바닥을 고무·플라스틱·가죽 콤퍼지션 레더로 만들고, 갑피를 방직용 섬유로 만든 것)의 수출 무역 연결정도 중심성은 중국, 베트남, 벨기에, 인도네시아, 독일 순으로 분석되었다. 수출 무역 근접 중심성은 중국, 이탈리아, 독일, 스페인, 프랑스 순으로 분석되었다. 수출 무역 매개 중심성은 이탈리아, 스페인, 미국, 독일, 아랍에미리트 순으로 분석되었다. HS CODE 제6404호의 신발무역 네트워크 분석을 종합해 보면 우리나라의 경우 연결·근접·매개 중심성이 경제규모에 비해 하위그룹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신발 수출 무역 네트워크 분석결과를 통하여, 우리나라 신발산업 육성방안으로 신발 완전 자동화 생산방식 도입, 고유 브랜드 육성, 한류문화를 통한 국가브랜드 활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HS6401∼6406 분석누락과 OEM 수출 통계자료를 활용 못한 점이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신발산업 동향 및 문헌연구
 Ⅲ. 수출무역네트워크 분석 방법 및 중심성 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세연 JUNG, Sae-Yeon. 부경대학교 국제통상물류학과
  • 이춘수 LEE, Chunsu. 부경대학교 국제통상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