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imed at articulating the policy communication concept and developing the policy communication index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public. Theoretically guided by dialogic communication theory, two step research was employed. In the first stage, the elements of policy communication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In the second stag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general public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secur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finalized policy communication index has two dimensions of mutuality and openness. The mutuality has six sub dimensions and the openness has three sub dimensions. The level of mutuality and openness of the policy communication index differed according to the policy type. In the cultural policy, which represents the traits of distribution policy, the degree of mutuality was strong, but the degree of openness was important in communication of education policy, which represents the traits of redistribution policy.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n empirical study that verifies and suggests the influence of the policy communication index in the context of the policy communication and practical applicability to strategic public relations by understanding the dimensions of policy communica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정부-국민 간 정책소통지수를 개발하고 정책 유형별 정책소통지수의 적용을 통해 정책소통의 차원과 중요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대화커뮤니케이션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한국 정부-국민 간 정책소통지수를 개발하기 위해 2단계를 거쳐 지수를 정화하 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했다. 1단계에서는 문헌연구와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거쳐서 정책소통 구성요소를 도출하였고, 2단계에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서베이를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최종 확정된 정책소통지수는 상 호성과 개방성의 2개 차원을 지니며 상호성은 6개의 하위차원, 개방성은 3개의 하위차원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소통지수의 상호성과 개방성 차원은 정책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분 배정책인 문화정책 소통에 있어서는 상호성 차원이 강하게 나타난 반면 재분배정책인 교육정책 소통에 있어서는 개방성 차원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부조직과 국민간의 대화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맞추어 정책소통지수를 개발하고 정책유형별로 정책소통지수의 영향력을 검증한 실증 연구로서 의미를 지니며, 정책소통의 차원을 이해함으로써 전략적 정책홍보에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데 실무적 함의가 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소통 개념 및 구성요소
2) 조직과 공중간의 대화커뮤니케이션
3) 정책유형과 정책소통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및 분석방법
1) 연구방법
2) 분석방법
5. 연구결과
1) 1단계: 심층인터뷰를 통한 지수항목 보완 및 내용타당도 확보
2) 2단계: 일반인 대상 서베이를 통한 지수항목 정화 및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