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패션 스트리밍 서비스 인식에 관한 연구 - 프로젝트 앤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Fashion Streaming Service Using Text Mining Analysis - Focused on PROJECT ANNE -

김종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ciety today is progressing from IT era to DT era, that is to say, the transformation into digital and data period means that consumers’ data on the use of products and services are shared and spread through social media.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 by users of fashion streaming service, which is a new style of fashion product consumption based on mobile, by analyzing social media big data. For this purpose, web blogs, cafés, Q&A section (‘Ji-Sik-In’) and news documents, provided by Naver.com, from September 2016 (when the most representative fashion streaming service, ‘PROJECT ANNE’ was established) to January 2018, were the subject of analysis. The keyword for the data research was ‘PROJECT ANNE’.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data, using the social metrics program, Textom, keywords extraction and frequency analysis were performed and one-way mode symmetric matrix was derived. Ucinet6.628 was used to understand the linkage structure between the keywords, and the results were visualized using the functions of NetDraw.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 total of 2,453 texts as keywords could be extracted, and the central keywords appeared, in the order beginning with highest frequency, ‘PROJECT ANNE’, ‘fashion’, ‘streaming’, ‘service’, ‘SK Planet’, ‘rental’, ‘clothing’, ‘possession’, ‘sharing’ and ‘brand’. CONCOR analysis grouped these into 4 factors. ‘service usage’, ‘fashion product service forms’, ‘fashion product contents’ and ‘experience seeking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sights for establishing a new fashion design approach strategy that brings together both fashion products and services; and for searching methods that can apply the data mining technology, which extracts useful information from the unstructured data of social media, to the field of fashion design.

한국어

현대 사회는 IT시대에서 DT시대, 즉 디지털과 데이터 시대로 변화하면서 제품 및 서비스 이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데이터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유되고 확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패션 제품 소비방식인 패션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을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대표적인 패션 스트리밍 서비스인 ‘프로젝트 앤’이 시작된 2016년 9월부터 2018년 1월까지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블로그, 카페, 지식인, 뉴스 문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검색을 위한 키워드는 ‘프로젝트 앤’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을 위하여 소셜 빅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인 텍스톰을 활용하여 키워드 추출 빛 빈도 분석을 하였으며 일원 모드 대칭형 메트릭스를 도출하였다. 키워드 간 연결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Ucinet6.628을 사용하였으며 NetDraw 기능을 활용하여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분석 결과, 추출된 키워드는 총 2,453 텍스트가 도출되었으며 ‘프로젝트 앤’, ‘패션’, ‘스트리밍’, ‘서비스’, ‘SK플래닛’, ‘렌탈’, ‘옷’, ‘소유’, ‘공유’, ‘브랜드’ 순으로 핵심 키워드가 나타났다. CONCOR 분석결과 4개의 요인으로 그룹화 되었다. 각각은 이용권, 렌탈, 스마트폰, 앱, 반납 등과 같은 키워드 중심의 ‘서비스 이용방식’과 스트리밍, 서비스, 공유, 옴니채널이라는 키워드로 이루어진 ‘패션 제품 서비스 형태’, 국내외, 신진, 브랜드, 명품, 디자이너로 이루어진 ‘패션 제품 콘텐츠’, 이벤트, 체험, 이용, 유행, 무한옷장 등과 같은 키워드의 ‘경험 추구 소비방식’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패션 제품과 서비스가 융합된 형태의 새로운 패션디자인 접근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소셜미디어의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패션디자인 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데 활용되기를 바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패션 스트리밍 서비스
  2. SNS와 텍스트 마이닝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대상 및 범위
  2. 분석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1. 키워드 빈도분석 결과
  2. 연결중심성 분석결과
  3. 네트워크 분석결과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종선 Kim, Jong Sun. 덕성여자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