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제 말기 일본이 추구한 식민지 인간상 - 해성심상소학교 학적부 ‘성행 개평’ 분석을 통해 –

원문정보

Colonial figure on the Process of Imperial Japan in the Late Colonial Period - Analysis of Hae-sung Elementary School registers -

전병구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제52호 2018.03 pp.307-338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political ideal the citizens of Japan is specifically implemented in a school. The results are available from the school registers, the school records of students. The School registers 'Seong-haeng Gae-pyeong' column is a detailed account of the realities of Imperial Japan's people. By analyzing it, Japanese colonial era fostered on the Korean Award is find out how revealing a slice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Behind the school register is a column that analyzes the mental state and health of students every grade and describes the home environment. Mental state was given the title of 'Seong-haeng Gae-pyeong' to assess personality, talents, bad habits and disabilities, hobbies, behaviors and language, figure and dress, and friendships. In the assessment of a tendency of personality was judged by characteristics, dexterity, vice versa, and disabilities.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was judged to be mild, attentive, pleasant, and absenteeism and tardiness, as well as competitiveness, honorary, and whether they were reserved or outgoing. ‘Mild(On-sun)’ was the first and most frequently recorded in the evaluation column. The call for a cheerful man showed its intention to create a quiet and compliant colonial figure. In the assessment, the ‘ability’ was evaluated, whether to study well or not, to try, or to get good grades. It also evaluated memory, understanding, literacy, speech skills linked to language and thought, and leadership and outstanding subjects. Among them, public speaking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item to assess the ability of Japanese to speak, and it was the most important skill for the citizens of Imperial Japan. Assessment of vice versa was recorded according to such levels as lies, kleptomania, fights, mischief, or disturbances. Disorders have been recorded in some cases only, in conjunction with mental disorders. Physical disabilities were detailed in the 'Body conditions and their findings' section. Actions were judged by their ideas and language, their behavior and clothing, and their friendships. Among them, thoughts that were used to mean thoughts or knowledge were evaluated to determine how abundant or deficient they were. The assessment of the Japanese speaking ability, language, was an assessment of how clear or vague it was. Japan wanted to instill the policies they wanted, with top priority for Koreans to acquire Japanese language for smooth colonization. They judged whether the actions were brisk, whether the clothing were clean, and how good and reliable the friendship was. It is not clear how the Catholic Church and Korean teachers who founded Hae-seong Elementary School clashed with the Japanese colonial education system and promoted their educational goals. Hae-sung school resisters contains some of the general values of Catholicism and education. Overall, however, there were a considerable number of achievements and goals of the colonial education aimed at Japanese citizen.

한국어

일제강점기 통치 이념인 황국신민화는 구체적으로 학교에서 구현되었다. 그 결과는 학생들의 학교생활 기록인 학적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학적부의 ‘성행 개평’란은 일제가 추구한 황국신민의 실상을 매우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이를 분석하여 일제강점기에 육성된 한국인 상을 알아보는 일은 일제 식민통치의 한 단면을 밝히는 방법이다. 학적부 뒷면에는 매 학년마다 학생들의 심성과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가정환경을 서술하는 난이 있다. 심성은 ‘성행(性行)개평’이라는 이름으로 성격과 재능, 악벽, 장애, 취미, 특기, 동작, 언어, 용의복장, 교우관계 등을 평가하였다. 성행개평에서 성품은 성질, 재간, 악벽과 장애 등으로 평가하였다. 성품 중 성질과 관련된 평가는 온순, 주의산만, 쾌활, 근태 등을 중심으로 경쟁심, 명예심과 내성적인지 외향적인지를 판단하였다. ‘온순’이 성행평가 난에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많이 기록되었다. ‘명랑쾌활’한 인간상을 요구한 사실에서 일제 식민 통치에 맹종하고 순응하는 식민지 인간상을 만들고자 한 의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성행 중 ‘재간’ 평가는 공부를 잘하는지 못하는지 또는 노력을 하는지, 성적이 좋은지 등의 학습능력을 평가하였다. 또 기억력, 이해력, 종합력, 언어 및 사상과 연계된 발표력, 우수 교과목과 리더십 등을 평가하였다. 그 중 발표력은 일본어 구사 능력을 평가하는 항목으로 황국신민화를 위한 가장 중요한 재간이었다. 악벽에 대한 평가는 거짓말, 도벽 외에 싸움·다툼·장난·소란 등을 그 정도에 따라 기록하였다. 장애는 정신장애와 관련된 특별한 경우만 일부 기록하였고 신체장애는 ‘신체상황과 그 소견’ 난에 상세히 적었다. 행동은 사상과 언어, 동작과 복장, 친구관계 등으로 평가하였다. 사고 또는 지식의 의미로 쓰인 사상은 얼마나 풍부한지 부족한지를, 일본어 구사 능력인 ‘언어’에 대한 평가는 얼마나 명료한지 불명료한지를 평가하였다. 일제는 원활한 식민 통치를 위해 한국인이 일본어를 습득하는 일을 최우선 목표로 삼아 그들이 원하는 정책들을 주입하고자 하였다. 그 외에 동작의 활발 여부와, 용의복장의 단정 여부, 그리고 친구관계가 얼마나 좋고 신뢰가 있는지를 판단하였다. 해성심상소학교를 설립하여 운영한 천주교 측과 한국인 교사들이 일제 식민교육 체제와 어떤 갈등을 하였고 그들의 교육 목표를 어떻게 추진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해성학교 학적부 성행개평 기록에는 천주교와 교육일반의 보편적 가치도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황국신민화를 지향하는 식민지 교육의 목표와 성과가 더 많았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성품(性品) 평가
 Ⅲ. 능력과 습관
 Ⅳ. 행동 평가
 Ⅳ. 맺음말
 <부록> 해성심상소학교 학적부 견본
 <국문초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전병구 Jeon, Byeong-Gu. 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