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말 전북지역 의병의 인적 관계망 – 습재 최제학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Personal network and Anti-Japanese Activites of Seupjae Choi Je-hak

金建佑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제52호 2018.03 pp.253-27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how Seupjae Choi Je-hak(1882-1959), who worked hard to assist Choi Ik-hyun as an aide, formed and used his personal contacts and network in the movement of the Taein Righteous Army. In the previous study, most themes surrounding the Taein Righteous Army have already been discussed including the leaders of the movement, the nature of the troops, the process and impact as well a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ovement. The record written by Choi Je-hak on the movement are frequently quoted as important historical data, but no specific research has been done on it at all. This paper examines the topics of participation in the Taein Rigteous Army according to the academic ties of Choi Je-hak, information and networks of the region, and cooperation with blood relations. Through his academic ties, Choi Je-hak broadened his connection with people, and this naturally strengthened his social network. In particular, he accompanied Choi Ik-hyun throughout the latter’s visit to Jeolla-do to raise an army against the Japanese, and arranged the schedule for Choi Ik-hyun’s accommodation and destinations. Choi Je-hak took the initiative in arranging the visit of Choi Ik-hyun, the supreme leader of the Taein Righteous Army, to Sangeuam in Imsil and Samwoodang in Jinan. Further, Choi Je-hak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ecruitment of troops by the Choi clan of Tamjin, procurement of provisions, delivery of letters, the provision of housing and meals, and paying respects to Tsushima. Instead of focusing on the leaders of the righteous army, this study has tried to highlight the personal network and the perspective of a person who participated as an assistant in the anti-Japanese battle.

한국어

이 글은 한말 태인의병 당시 습재 최제학(1882~1959)이 그의 인적 관계망을 어떻게 활용하여 의병활동을 전개했는지 살펴보았다. 태인의병은 진위대의 개입으로 열흘간의 짧은 항쟁을 마치고 해산되었지만 1,000여 명이 참여한 큰 규모의 항일 의병활동이었다. 본고는 최제학의 학연에 따른 의병 참여, 지역정보와 연결망 그리고 혈연 집단과의 협력이라는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는 학연을 통해 인적교류를 넓히는 동시에 사회적 연결망이 자연 강화됨을 주목하였다. 특히 창의(倡義)하기 위해 호남에 내려온 최익현을 처음부터 끝까지 수행하면서 처소와 행선지 일정을 계획했으며, 임실 상이암(上耳庵)과 진안 삼우당(三友堂) 행차를 최제학이 주도적으로 수행했음을 밝혔다. 또한 최제학을 중심으로 진안 탐진최씨라는 혈연 집단이 의병 모집, 군량미 마련, 편지 전달, 침식 마련, 대마도 문후 등 의병활동에 적극 참여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고는 의병장 중심이 아닌 의병 참여 조력자의 인적 연결망을 통해 새로운 측면을 부각하고자 했다.

목차

I. 서론
 II. 학연과 의병 참여
 III. 지역정보와 연결망
 IV. 혈연 집단과의 협력
 V. 결론
 <국문초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金建佑 김건우. 전주대학교 역사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