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시대 高荊山의 함경도 지역 築城 활동

원문정보

Activity to construct fortress in Hamgyeongdo area by Go Hyeong-san in Joseon period

조선시대 고형산의 함경도 지역 축성 활동

한성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tried to examine activity to construct fortress in Hamgyeongdo area by Go Hyeong-san in Joseon period. Go Hyeong-san was an working-level official for defence of Hamgyeongdo and construction of fortress through careers such as Hamgyeongdo Dosa(都事), Jongsagwan(從事官) in Chookseongsa(築城司), Gyeongchagwan(敬差官) of Hamgyeongdo, commander of Hamgyeongnam·bukdo, Hamgyeongdo governor(觀察使) etc. in the period of King Seongjong(成宗)·Yeonsangun(燕山君)·King Joongjong(中宗) dynasty. Then times, Jurchen people gradually crossed over Pyesagun(廢四郡) area and Hyesan(惠山) centered on Manpo(滿浦), west of Baekdu-san mountain. So Samsoogun(三水郡) area was repeatedly invaded by Jurchen people. Joseon needed to make plan to defend them for west and east areas of Baekdu-san mountain _ from east of Pyesagun to Baekdu-san mountain and from east of Baekdu-san mountain to Hoenyeong(會寧). Joseon proceeded with construction of small fortress(城堡), and relocation and re-building of Jinbo(鎭堡) in the area to defend Jurchen people. Thus, Joseon organized border area fortress again. Go Hyeong-san was sent as a Jongsagwan in Chookseongsa and led construction of Eomyeonbo in Samsoogun. He also was sent to Hamgyeongdo. There he has site survey and participated in discussions for construction of Hooju and relocation of Boonyeongjin. Eomyeonbo was constructed to defend Jurchen people because they repeatedly invaded Samsoogun. Construction of Hooju was discussed by the same reason. There was opinion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relocate Boonyeongjin to Jeongseungpaodal where to keep off enemy was more proper than in Boonyeongjin, one of 6-JIn, located in inland. For site survey, Go Hyeong-san was sent. And it was reported that it was not suitable to relocate Boonyeongjin. In the end, relocation stopped tentatively. Go Hyeong-san became commander of Hamgyeongnam·bukdo based on experiences of construction of fortress and defence in Hamgyeongdo. After Jungjong coup, he had a position of Hamgyeongdo governor and led issues of relocating Moosanbo(茂山堡) and re-building of Boeulhabo(甫乙下堡). Go Hyeong-san insisted to relocate Moosanbo to northern area because Moosanbo was damaged by flood so that farming was not possible. This intended to let general people obtain land for farming and also to block up road to defend enemy. For this, he suggested to rebuild old Boeulhabo near Hoenyeongjin(會寧鎭) to protect fortress. As a result, Moosanbo was relocated and Boeulhabo was rebuilt.

한국어

본고는 조선시대 高荊山의 咸鏡道 지역 築城 활동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형산은 成宗·燕山君·中宗代에 함경도 都事, 築城司 從事官, 함경도 敬差官, 咸鏡南·北道節度使, 함경도 觀察使 등을 역임하면서 함경도 지역 방어와 축성에 관한 실무 관료로 활동하였다. 당시 女眞人들이 점차 白頭山 서쪽 滿浦를 중심으로 廢四郡 지역 및 惠山 지역으로 들어오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은 三水郡 지역에 잇따른 여진인들의 침입을 받고 있었다. 이에 조선에서는 백두산을 중심으로 한 동·서지역, 즉 폐사군 동쪽에서부터 백두산까지의 지역과 백두산 동쪽에서부터 會寧까지의 지역에 대한 방어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조선은 이 지역에 여진인들의 침입을 막을 수 있는 城堡의 축조와 鎭堡의 移設 및 復設 등을 추진하였고, 결국 關防對備策에 대한 재정비에 나서게 되었다. 이에 고형산은 축성사 종사관으로 파견되어 삼수군 魚面堡의 축성을 주관하였고, 잇따라 함경도에 파견되어 현지 조사 후에 厚州의 설치 논의와 富寧鎭의 이설 논의에 참여하였다. 어면보의 축성은 여진인들이 삼수군 지역을 지속적으로 침범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방어 차원에서 이루어졌으며, 후주의 설치 논의 역시 마찬가지였다. 6진 중 內地에 있던 부령진 역시 보다 賊路를 막을 수 있는 政丞坡吾達로 옮기자는 논의가 일어났다. 이에 고형산을 파견하여 實地를 조사시킨 결과 鎭의 이설이 적당하지 않다는 보고가 있어 논의만 거듭하고 마침내는 잠정적으로 중지되기도 하였다. 고형산은 이러한 함경도 지역 축성 및 방어 경험을 바탕으로 함경남·북도절도사가 되었으며, 中宗反正 후에는 함경도 관찰사가 되어 茂山堡의 이설과 甫乙下堡의 복설 논의를 주도하였다. 고형산은 무산보가 수해를 입어 농사를 지을 수 없게 되자 보다 북쪽으로 옮겨, 한편으로는 백성들이 경작할 땅을 얻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적의 침입로를 차단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會寧鎭 옆의 옛 보을하보를 복설하여 농민들을 보호할 것을 건의하였다. 그 결과 무산보의 이설과 보을하보의 복설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고형산의 파견과 三水郡 魚面堡의 축성
 Ⅲ. 고형산과 대신들의 富寧鎭 移設 논의
 Ⅳ. 茂山堡의 移設과 甫乙下堡의 復設
 Ⅴ.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 문헌>

저자정보

  • 한성주 Han, Seong-Joo. 강원대학교 사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