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포스트 프로덕션의 재활용 기법 - 1990년대 이후 영화 원작의 미디어 아트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Post Production Recycling Techniques -Focusing on the Media Art of the Original Film since the 1990s

조사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1990, theorists of philosophy, culture theory, art history, and media have explored contemporary art conditions in ‘intermedia’, such as the ‘mixed genre’ and ‘mixed media’ types, as well as “post-media conditions” after the media age. With regard to contemporary society, the entire culture changed by computer media has rendered the traditional ‘medium’ norm of art meaningless. The “post-production” concept, as introduced by Nicolas Bourriaud starting in the 1990s in conjunction with the ‘post-media-condition’, has become a major production method of contemporary art. Particularly, the power of post-production art has been affected by social and technological phenomena and the phenomenon of the global cultural surge in the information age. With regard to ​​art and how it can be gradually depleted while rapidly responding to information technology, post-production is a cause of diversity in the production of art and a new potential area of ​​contemporary art.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field of art by analyzing post-production strategies and interactions with movies, the source of the media art as it pertains to this paper. Multi-layered research on post-production is necessary, as this type of art can be a source of enrichment in contemporary arts given its prominent media art forms and film reflections. It can also serve as a hybrid communication strategy combining art and technology for communication with viewers.

한국어

1990년 이후 철학, 문화이론, 미술사, 미디어 분야의 이론가들은 ‘혼합장르’, ‘매체혼성’ 등의 ‘인터미디어’ 상태가 편재한 동시대 예술 조건을 탐구하며, 매체에 따른 장르 구분이 가능했던 ‘매체시대’ 이후의 미디어 혼성 상황을 “포스트-미디어 조건”이라고 정의한다. 현대사회 컴퓨터 미디어에 의해 변화된 문화 전반은 예술의 전통적인 ‘매체’ 규범을 무의미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포스트-미디어 조건’과 맞물려 1990년대 이후 니꼴라 부리요가 주창한 “포스트 프로덕션”은 동시대 미술의 주요한 제작 방식으로 작동하게 됐다. 특히 포스트 프로덕션 예술이 성행한 동력에는 사회적·기술적 현상과 함께 정보화 시대 전 지구적인 문화 급증 현상이 작용한다. 정보기술에 발 빠르게 대응하면서 점차 고갈되는 예술의 소재 영역에서 포스트 프로덕션은 예술 제작에 있어서 다양성을 제공하는 명분이자 현대미술의 새로운 가능성의 영역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디어 아트에 있어서 작품의 질료로써 원천이 되고 있는 영화와의 상호작용 과정 속에 포스트 프로덕션 전략을 분석해봄으로써 예술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미디어 아트와 영화의 환류가 두드러지면서 동시대 미술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기반이자 원천이 되는 포스트 프로덕션에 대한 다층적인 연구와 함께 관람객과 소통하기 위한 기술과 예술의 혼합형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1.1 논문의 배경
  1.2 연구방법
 2. 1990 년대 이후 미디어와 포스트 프로덕션
  2.1 포스트-미디어 시대와 포스트 프로덕션
  2.2 포스트 프로덕션 개념과 특징
 3. 영상매체에서의 포스트 프로덕션 전략과 실행
  3.1 시간의 변용으로 낯설게 하기
  3.2 원작의 전용을 통한 해체
  3.3 이용과 재가공에서 창조로의 확장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사라 Cho, Sa Rah. 전남대학교 미술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