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외국인 집단 거주 지역에 대한 내국인의 인식에 관한 연구 : 대림2동과 자양4동 중국인 집단 거주지역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Korean Citizen‘s Perception on the Living Environment of Foreigner Group Residence Area : Focused on Daerim-2 dong and Jayang-4 dong in Seoul, Korea

남재형, 김흥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Seoulites who use and live in the foreign group residence area recognize and feel the space which is changing remarkably.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Personal experiences of Chinese immigrants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perception of local living conditions, and the perception of Chinese and Chinese community gives a positive effect in the living environment awareness. The local vitality factor of Chinese migra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Chinese. The satisfaction of Chinese group residence area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local living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local living environment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living in Chinese residential areas and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such as increased crime, ethnic conflicts and xenophobia including cultural heterogeneity and isolation resulting from cultural differences and prejudices.

한국어

본 연구는 중국인 이주자 장소점유 현상이 일어나는 지역에서 생활하는 내국인 거주민을 대상으로 장소인식 및 생활환경 평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관련자들이 해당 지역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어떠한 요소들이 이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서울시내 외국인 집단 거주 지역에 대한 문제점 및 내국인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다국적·다문화 사회로서 서울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정책적 차원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인 이주자에 대한 개인적 인식과 경험은 지역의 생활환경을 인식하는데 있어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중국인(중국인 사회)에 대한 인식은 생활환경 인식에 있어 긍정적 영향을 준다. 또한 중국인 이주자로 인한 지역활력 요소들은 중국인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있어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중국인 집단 거주지역의 내국인들이 느끼는 지역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지역 생활환경에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향후 바람직한 외국인 집단 거주지역의 관리 및 문제해결, 지역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첫째, 생활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치안 및 안전, 교육여건, 지역 이미지 등이 매우 중요한데, 다른 지역보다 취약할 수 있는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는 것이 지역 만족도 상승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다. 둘째, 중국인 이주자와 사회에 대한 개인적인 인식과 경험을 긍정적으로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서로간의 차이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집단 간의 융화를 위한 공간의 조성 및 행사의 개최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의 특색을 활용한 지역 내 상권 활성화 등 경제적 개선방안의 모색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양동의 경우와 같이 기존 지역 상권과 어우러진 특색 있는 상권 개발이나, 내외국인이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이질적이지 않은 지역으로의 이미지 변환을 위한 작업이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4. 분석
  4.1. 자료 수집
  4.2. 연구가설 및 모형 설정
  4.3. 확인적 요인분석
  4.4. 제안모형 분석 (공분산 구조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남재형 Nam, Jae Hyeong.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시공학과 박사수료
  • 김흥순 Kim, Heung Soon.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정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