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이 연구는 일본의 신 교사평가제 도입에 따른 지도력 부족교사 평가시스템을 분석하여, 앞으로 우리나라 새로운 교사평가제 도입운영과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일본 교사평가제의 변천과정과 새로운 교사평가시스템의 주요 내용(평가의 목적, 평가방법, 평가시기, 평가과정, 평가자, 평가결과 및 활용), 지도력 부족교사 문제의 등장 배경과 평가시스템의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도력 부족교사의 관리시스템, 지도력 부족교사의 개념과 유형, 지도력 부족교사의 평가기준과 인정절차, 지도력 부족교사를 위한 관리방안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으로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새로운 교사평가제 도입, 지도력 부족교사 대책 수립을 위한 실증적 연구 실시와 현실적인 대안 강구, 교사평가제 시행을 위한 법적 근거와 다양한 연수체제 마련이 요청된다.
목차
요 약
I. 서론
II. 동경도 교육위원회의 새로운 교사평가시스템 도입과 주요 내용
1. 교사평가의 목적
2. 평가 시기와 평가 과정
3. 평가자
4. 평가 결과의 활용과 공개
III. 지도력 부족교사의 등장 배경과 대응
1. 지도력 부족교사 문제의 등장
2. 지도력 부족교사에 대한 대응
IV. 지도력 부족 교사의 평가시스템
1. 지도력 부족교사의 개념
2. 지도력 부족교사의 유형과 사례
3. 지도력 부족 교사의 평가기준
4. 지도력 부족 교사 인정 절차
5. 지도력 부족 교사 판정 결과
V. 지도력 부족교사의 관리시스템
VI.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ABSTRACT
I. 서론
II. 동경도 교육위원회의 새로운 교사평가시스템 도입과 주요 내용
1. 교사평가의 목적
2. 평가 시기와 평가 과정
3. 평가자
4. 평가 결과의 활용과 공개
III. 지도력 부족교사의 등장 배경과 대응
1. 지도력 부족교사 문제의 등장
2. 지도력 부족교사에 대한 대응
IV. 지도력 부족 교사의 평가시스템
1. 지도력 부족교사의 개념
2. 지도력 부족교사의 유형과 사례
3. 지도력 부족 교사의 평가기준
4. 지도력 부족 교사 인정 절차
5. 지도력 부족 교사 판정 결과
V. 지도력 부족교사의 관리시스템
VI.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