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도로 인프라의 지역별 공급수준 비교를 위한 평가 기법 개발

원문정보

Developing a Measure for Regional Roadway Stock Comparisons of Korea

육동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evelops measure to compare regional roadway stock of Korea.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a region has the appropriate amount of roadway stock, the study suggests a service level-based measuring system considering that the supply of roadway is the consequence of the increased travel demand of a region. The regional roadway service level is the average of the volume-capacity ratio experienced by all travel demand generated in a region. The volume-capacity ratio for each travel demand in a region is determined by finding the first and the second shortest routes' volume-capacity ratio, where K-shortest route algorithm is applied. By averaging all origin-destination travel demands’ volume-capacity ratio in a region, the metric determines the service level of 249 regions of Korea. The two route-based measurement is advantageous for evaluating the service level of the region because it gives the information for the major route (the first route) and the alternative route (the second route). The service level-based measurement system indicates that most of the regio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major satellite cities including Sungnam, Suwon, and Goyang have a low level of service while the rural areas such as the regions in Gangwon, Jeolla, and Gyeongsang provinces are maintaining a relatively good service level.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상당기간 지속된 도로 인프라 공급을 단순 시설수준 지표가 아닌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도로 인프라에 대한 수요와 공급을 동시에 고려하는 측정지표를 개발하여 지역별 도로 인프라 공급수준을 평가하였다. 기존의 인당 연장, 면적당 연장 등과 같은 단순 지표로는 현재까지 수행된 인프라 구축에 대한 성과를 제대로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어, 그 대안으로 교통수요와 그에 대한 적절한 공급이 이루어졌는가를 나타내는 도로 서비스 수준 지표로 도로 인프라 공급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지역의 도로 공급수준 산정 방식을 우리나라 249개 시군구에 적용하여 시군구별 도로 서비스 수준을 평가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서울특별시를 포함하여, 경기도 일대 주변 위성도시, 주요 5대 광역시 도심부의 도로 서비스 수준이 매우 열악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지역일수록 도로 서비스 수준이 점차 양호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외의 지역은 (강원도 대부분 지역, 전라 남북도 일부 지역, 경상북도 일부지역) 모두 도로 서비스 수준이 양호한 것으로 드러났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본론
  2.1. 선행 연구 고찰
  2.2. 지역별 도로 인프라 수준 측정의 방향
  2.3. 지역별 도로 인프라 수준 측정 방법
  2.4. 사례 연구
 3. 결론
  3.1. 요약 및 맺음말
  3.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육동형 Yook, Donghyung. 국토연구원 국토 인프라 연구본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