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문대학생의 정신건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Resilience on College Adjustment of Junior College Students : Focus on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김경미, 박용운, 유태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resilience on the process in which mental health of professional college freshmen are affected in university life. For this, research models were established based on prior studies and processes were ver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freshmen students from two specialized colleges in Busan as convenient labeling method an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Of 407 respondents who were recalled, the questionnaire distributed a total of 420 copies and used them in the analysis as robust ones. Research shows that students adapt least to their studies in college, least obsessive to their mental health, and most socially capable of resilience.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mental health ha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llege life adaptations. Resilience also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parameter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college life adaptations. The study was based on the fact that it provided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ould help junior college students adapt to resilience, a key parameter in mental health and college adjustmen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신입생의 정신건강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회복탄력성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상관관계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과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 2개 전문대학의 1학년 학생을 편의표집방법으로 선정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총 42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407부 중 응답이 충실한 39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적응 중 학업적응이 가장 낮게, 정신건강에서는 강박증이 가장 낮게, 회복탄력성 중에서는 사회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모델 검증결과 정신건강은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회복탄력성은 정신건강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정적인 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정신건강과 대학생활적응에서 주요한 매개 변수인 회복탄력성의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대학생활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I. 서론
 II. 선행연구 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경미 Kim, Kyoung Mee. 동의과학대학교 사회복지과 부교수
  • 박용운 Park, Yong Woon. 동의과학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 유태완 Yoo, Tae Wan. 동의과학대학교 사회복지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