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어교육 정책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중ㆍ고등학교 교사의 교수 탈동기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eaching Demotivation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Change of English Education Policies

김지선, 김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eacher’s demotivation as a policy implementer based on their recognition of education policy in South Korea. Teachers’ recognition and their subsequent adoption of English education policies can function as an important guideline for facilitating changes in classroom instruction on a daily basis. This paper summarized the flow of educational policy changes initiated and implemented in each regime from the 1990s to 2017.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11 in-service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conducted regarding major English education policies and their influence on the participating teachers’ demotivation in teaching.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ased on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eacher demotivation has complicated relations with the work environments such as the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and the self-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In addition, teachers were found to be demotivated by their sense of alienation in policy making and administration and gradually formulated indifferent and/or negative attitudes toward government-initiated English education policies. The above findings imply that an accurat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education policy reflecting in-service English teachers’ voices and work experiences is the key element for achieving its intended educational reform.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교사의 영어교육 정책의 인식과 적용을 중심으로 영어교사의 교수 탈동기 요소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1990년대부터 2017년 현재까지 각 정권에서 시행된 영어교육 정책 변화의 흐름을 요약하였다. 주요 교육 정책과 교사에 대한 영향에 관해 중·고등학교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영어교사의 교수 탈동기 요소가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근거이론적 접근법으로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 교사 동기와 탈동기는 동료 교사와의 관계 및 교직 환경에 대한 인식을 포함한 다양한 교직 대·내외적 인적, 물리적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교사들은 정책 수립 및 행정에서 소외감을 느껴 정부 주도의 교육정책에 무관심하거나 부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참여 교사들은 영어교육 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책 입안자들의 교육 현장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인식을 통해 교육 개혁을 구체화 해나갈 수 있는 지속성을 담보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에 공감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영어교육 정책은 보다 많은 교사의 의견수렴과 참여의 독려로 교육현실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정책에 관한 교사의 관심과 인식을 강화하여 정책 제공자와 사용자 간의 간극을 좁혀야 한다. 둘째, 정책의 교육적 가치에 따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의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평가하는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교사와 영어교육 정책
  2. 교사의 교수 동기 및 탈동기와 교사로 인한 학습자 학습 동기 및 탈동기
 III.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 도구
  3. 분석 방법
 IV. 연구 결과
  1. 영어교육 정책에 대한 교사의 인식
  2. 영어교사 교수 탈동기 요소 분석
 V. 논의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선 Kim, Ji Seon.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태영 Kim, Tae Young. 중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