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등학교 분산적지도성 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

원문정보

Validation of a Test of Distributed Leadership in Secondary schools

박선형, 장다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st of Distributed Leadership and to verif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to do this, the former version of the ‘Test of Distributed Leadership’ was developed based on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nd was revised through advises from expert group, and then was composed as questionnaire using Likert scale 5 points.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by 430 teachers who work at 19 secondary school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Using gathered questionnaires, the reliability of the test of Distributed Leadership was verified and the sub factor of each fields were analyzed through EFA and CFA. In addition to them,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Commitment to teaching was conducted to verifie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test. The reliability of total items was 0.968 and 0.905~0.973 in detail. Thus, the reliability of the test of Distributed leadership and each field of it can be evaluated as acceptable. And as a result of EFA, Teacher leadership was divided into 4 sub factors and 16 questions, Principal leadership was 5 sub factors and 22 questions, and School situation was 3 sub factors and 17 questions. As a consequences of examining the goodness of fit of the total mode this model was appropriate and met the recommend criteria. And Construct Reliability were recorded from 0.878 to 0.949, so this test can be said having a convergent validity. Also the Average variance extracted is higher than values of each variables, so this test can be said having a discriminant validity.

한국어

지도성을 한 개인 지도자의 특성 구현이나 역량 발휘로 간주하는 전통적 지도성 연구는 학교 조직의 다원화와 개방화에 따른 학교 대내·외의 복잡다기한 문제 상황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최근 들어, 교육학을 포함한 사회과학 분야에서 전통적 지도성에 대한 발전적 대안으로서 지도성을 개인 차원을 넘어서 “지도자들과 구성원들 및 이들을 둘러싼 상황 간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규정하는 '분산적 지도성'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중등학교에서의 분산적 지도성 실제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구성하고, 해당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진단도구의 전체 신뢰도는 0.968, 교사지도성, 학교장지도성, 학교상황의 세 영역별 신뢰도는 0.892-0.966으로 매우 적절한 수준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영역별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단도구의 최종 모형이 중등학교 분산적 지도성의 구성요인을 적절하게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등학교에서의 분산적 지도성 실제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제공함으로써 분산적 지도성이 학교현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구명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기대효과를 가진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분산적 지도성
  2. 분산적 지도성의 구성요소
  3. 분산적 지도성의 진단도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자료처리
 Ⅳ. 연구결과
  1. 분산적 지도성 진단도구의 구성
  2. 분산적 지도성 진단도구의 신뢰도 검증
  3. 분산적 지도성 진단도구의 타당도 검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선형 Park, Sun Hyung. 동국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장다솜 Jang, Da Som. 동국대학교 입학사정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