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교장 리더십의 발현 과정 :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의 적용

원문정보

The emergent process of a principal’s leadership for the realization of education welfare : Application of the conceptual model of Teacher Agency

이성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qualitative case study aim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welfare in Heesung high school, a private vocational higher school located in a socially disadvantaged area. Then, it investigated the emergent process of a principal’s achieving teacher agency for the realization of education welfare for the last ten years. For this, in-depth interviews, school observation, and literature review were conducted. For analytical frameworks, this paper used ‘the requisites for schools as educational welfare community’(Kim, 2011) and the conceptual model of ‘Teacher Agency(hereafter, TA)’(Priestly, et al., 2015). Analysis suggested that Heesung high school fulfilled the six requisites for schools as education welfare community. Meanwhile, the principal “achieved agency when she was able to choose between different options in any given situation and was able to judge which option is the most desirable, in the light of the wider purposes of the practice in and through which she acted”(Priestly, et al., 2015: 141). TA, in which the concepts of teachers’ capacities, contexts and time are embedded, proved to have a strong explanatory power in that it offered a comprehensive and longitudinal conceptual framework in understanding the principal’s process of realizing education welfare in the school. Lastly, the merits and limitation of TA and future research agendas were suggested.

한국어

이 연구는 질적사례연구 대상으로 삼은 사립 특성화고인 희성고(가명)의 교육복지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학교 변화의 과정에서 학교장이 지난 10여 년간 어떻게 교사행위자성을 발현하여 왔는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Priestly, et al., 2015)에 한국의 실증적 데이터를 적용하여, 해당 이론의 국내 교사에의 적용가능성과 한계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심층면담, 학교관찰, 문헌 분석이 수행되었다. 분석틀로는 교육복지공동체로서의 학교의 요건(김인희, 2011)과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Priestly, et al., 2015)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희성고는 교육복지공동체로서 학교의 6가지 요건(김인희, 2011)을 충족시키고 있었다. 이를 위해서 지난 10여 년간 희성고의 학교장은 여러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는 환경 속에서(과거), 계속해서 진화하는 ‘좋은 교육’에 대한 도덕적 가치와 목표에 동기를 부여받아(미래), 학생들을 위해 가장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는 학교 구조와 문화, 물리적 환경(맥락)을 조성하는 과정(현재) 가운데에서 교사행위자성을 성취하였다(Priestly, et al., 2015: 141). 이와 같이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은 학교장의 ‘능력’에 더하여 ‘시간(과거-현재-미래)’과 ‘맥락(구조, 문화, 물리적 환경)’의 개념을 내포하고 있어,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학교 변화의 과정을 종단적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유용한 설명틀을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의 의의와 한계, 추후 연구과제를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틀
  1. 교육복지공동체로서의 학교의 요건
  2.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
 Ⅲ. 연구방법
  1. 연구 사례의 선정
  2. 자료 수집과 분석
 Ⅳ. 연구 결과
  1. 희성고의 교육복지 특성
  2. 희성고의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교장의 교사행위자성의 발현과정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성회 Lee, Sung Hoe. 한국교육개발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