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문화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예비교사의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원문정보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ion Experie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강혜정, 임은미, 김순미, 김지영, 장강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who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were developed. The program consisted of learning activities including lecture, presenting reading and audiovisual materials, small group and full discussion, reflection journal about learning activities for understanding various multiculutral groups such as economic class, sexual identity, ethnic/racial identity, chronological/developmental challenge, family background, unique physical characteristic. In this study, 20 pre-service teachers' self-reflection diaries submitted each session were analyzed by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CQR). As a result,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was divided into three domains of cognitive experience, emotional experience, and willingness to act, seven categories and twenty subcategories. In the cognitive experience domain, there were three categories of 'check thinking style and stereotyping', 'reinterpret minority/majority experiences', and 'understand of minority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process', In emotional experience domain, there were two categories of 'feel discomfort and sad' and 'enjoyable and happen to interest'. In willingness to act domain, there were two categories of 'seeking practice in daily life' and 'seeking practice in the field'. In the overall experience of participants, there were 6 general(19~20 cases), 12 typical(10~18 cases), and 2 variable(5~9 cases) responses. Participant's experiences according to program them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multicultural subgroups treated.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은 경제적 계층, 성 정체성, 민족/인종 정체성, 연령/가족배경, 장애/신체적 특징 등의 다양한 다문화 집단에 대한 강의, 사례제시, 토론, 성찰일지 공유 등의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명의 참여자들이 각 회기마다 제출한 성찰일지를 합의적 질적분석방법(CQ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교사의 경험은 인지경험, 정서경험, 실천의지의 3개 영역과 7개 범주, 20개의 하위범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인지경험 영역에는 사고방식과 고정관념을 살펴봄, 소수민/주류민 경험을 재해석함, 소수민 차별과 억압과정에 대해 이해함의 3개 범주, 정서경험 영역에는 불편함과 안타까움을 느낌, 즐겁고 관심이 생김의 2개 범주, 실천의지 영역에는 일상에서의 실천을 모색함, 현장에서의 실천을 모색함의 2개 범주가 포함되었다. 20개의 하위범주 중 참여자들이 가장 많이 응답한 하위범주는 ‘나의 사고방식과 고정관념을 확인하였음’, ‘주변에서의 소수민 경험을 떠올림’, ‘소수민 차별/억압의 발생 원인과 심화 과정에 대해 알게 됨’, ‘우리 사회의 소수민 차별/억압의 현실을 확인함’, ‘다양한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됨’, ‘차별과 고정관념에 민감한 교사가 되겠다고 다짐함’ 등 6개였다. 이러한 경향이 다문화 하위집단별로 어떻게 경험되는지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 하위집단에 따라 참여자들의 경험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에 주는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다문화교육프로그램
  2. 전환학습
  3. 소수민의 구성에 대한 이론적 모형
 Ⅲ. 연구방법
  1. 절차
  2. 분석절차
 Ⅳ. 연구결과
  1. 참여자들의 전체적인 경험
  2. 다문화 하위집단별 참여경험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혜정 Kang, Hye Jeong. 전북대학교
  • 임은미 Lim, Eun Mi. 전북대학교
  • 김순미 Kim, Sun Mi. 전북대학교
  • 김지영 Kim, Ji Yong. 전북대학교
  • 장강희 Chang, Kang Hei. 전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