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APA) for school age children. Methods: The subjects were 495 school aged children. The validity of the APA was verified using Rasch analysis to investigate the persons and items fitness, the distribution of item difficulty, separation reliability,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rating scale. Finally, the items were categori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 of Rasch analysis showed that 16 out of 495 school aged children were not fit unidimensionality. Out of 83 items, 19 items were determined to be unsuitable items. Of the appropriate items, the most difficult item was ‘play the baseball’, and the easiest item was ‘bath/shower’. A three-point rating scale of the APA was found to be more appropriate than the original six-point rating scale. The separation reliability of subjects and items was each .95 and .99.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8 factors consisting of 30 items. Conclusion: The validity of APA was verified using Rasch analysis. Further research needs to prove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APA with a three-point rating scale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articipation of children.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한 라쉬분석을 적용하여 학령기 아동을 위한 활동 참여 평가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학령기 아동 495명을 대상으로 활동 참여 평가도구를 실시하였다. 평가된 자료는 라쉬분석을 사 용해 항목과 대상자의 적합도, 항목 난이도, 평정척도, 분리신뢰도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요인분석을 통 해 항목의 영역을 분류하였다. 결과 : 495명의 학령기 아동 중 16명이 부적합 대상자로 나타났다. 부적합 대상자를 제외한 479명의 아동 을 대상으로 항목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19개 항목이 부적합 항목으로 판정되었다. 항목의 난이도 분 석에서는 ‘야구하기’ 항목이 가장 어려운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목욕/샤워하기’가 가장 쉬운 항목으로 나 타났다. 평정척도 분석결과 6점 척도보다는 3점 척도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에 대한 분 리신뢰도는 .95, 항목에 대한 분리신뢰도는 .99로 분석되었다. 최종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8개 영역, 30개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결론 : 라쉬분석을 적용하여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활동 참여 평가도구의 타당도를 입증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3점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도구를 재구성하여 참여를 측정하는 다른 측정도구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입증하고, 아동의 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3. 연구 도구
4.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적합도 판정
2. 항목 난이도
3. 평정척도 분석
4. 분리신뢰도
5. APA 검사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