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뇌졸중 환자의 우세손 마비에 따른 기능회복에 대한 후향적 코호트 조사 연구

원문정보

Retrospective Cohort Survey on Post Stroke Recovery in Accordance With Hand Dominance

박제모, 김희동, 황도연, 손영효, 최요한, 김혜미, 이의진, 배성환, 배성진, 장연식, 남영옥, 양경옥, 정화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There has been observed that the degree of functional recovery is higher than non-dominant hand if the dominant hand paralyzed after a stroke. In Korean research context, there has not been enough research conducted on this issue. This study has therefore tried to explore the changes in functional recovery due to dominant hand paralysis by using a retrospective cohort survey to provide information to a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strategy. Methods: After recruiting primary subjects(n=205) from five medical institutions, we investigated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roke-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applied evaluation tools. Subjects who have admitted from onset to initial evaluation within 6 months were excluded. Information about the assessment records were collected from the secondary subjects(n=122). Six evaluation tools(Modified Barthel Index, Maunual Function Test, Hand Strength Test, Nine-Hole Pegboard Test,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Box and Block Test) were select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for the assessment tool applied to the secondary subjects. Results: The assessment results of HST, NHP and BBT(p<.001) along with assessment period in MBI(p<.05)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dominant hand paralysi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However,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existence of dominant hand paralysis and assessment period. The changes on the assessment value of HST and BBT showed that the paralyzed dominant hand group was higher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than the non-dominant hand group. Conclusion: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various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strategies for hemiplegic patients due to stroke in the future.

한국어

목적 : 뇌졸중 이후 우세손이 마비된 경우 기능회복 정도가 비우세손의 손상보다 더 높을 것이라는 관측이 존 재하지만 이에 대한 국내 연구 자료는 부족하기 때문에 후향적 코호트 조사를 통해 우세손의 마비 유무에 따른 기능회복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작업치료 중재전략에 응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5개 의료기관에서 1차 대상자(n=205)를 모집한 후 일반적 특성 및 뇌졸중 관련 특성, 적용된 평가도구 등을 조사하고 발병일에서 초기평가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이내인 2차 대상자(n=122)를 선 별하여 평가기록 자료를 수집하였다. 적용된 평가도구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하여 6개의 평가도구를 선정 하였다(Modified Barthel Index; MBI, Maunual Function Test; MFT, Hand Strength Test; HST, Nine-Hole Pegboard test; NHP,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Box and Block Test; BBT). 평가기록은 평가기간(초기, 3개월 후, 6개월 후)에 따라 자료를 수집한 후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 하였다. 결과 : HST, NHP, BBT에서 우세손 마비 유무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p<.001), MBI는 평가기간에 따른 차이만(p<.05) 보였으며 우세손 마비유무와 평가기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존재하지 않았다(p>.05). 우세 손 마비 환자의 HST(lateral pinch, palmar pinch)와 BBT의 변화량은 비우세손 마비 환자보다 유의한 차이(p<.05)로 더 높았지만 그 외 평가결과에서는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추후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다양한 작업치료 중재전략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희망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절차
  2. 연구 도구
  3. 조사표 구성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우세손 마비유무와 평가기간에 따른 기술통계량 및 상호작용 효과 분석
  2. 우세손 마비 유무에 따른 각 평가결과 변화량의 차이 분석
  3. 일반적 특성과 뇌졸중 특성에 따른 평가결과 변화량 차이 분석
 Ⅳ. 고 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박제모 Park, Je-Mo.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희동 Kim, Hee-Dong.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황도연 Hwang, Do-Yeon.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손영효 Son, Young-Hyo. 광주 첨단우암병원
  • 최요한 Choi, Yo-Han.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혜미 Kim, Hye-Mi.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이의진 Lee, Eui-Jin. 광주 씨티재활의학과요양병원
  • 배성환 Bae, Seong-Hwan.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배성진 Bae, Sung-Jin.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장연식 Jang, Yeon-Sik. 전남과학대학교 작업치료과
  • 남영옥 Nam, Young-Ok. 한영대학 작업치료과
  • 양경옥 Yang, Kyoung-Ock. 한영대학 작업치료과
  • 정화식 Jung, Hwa-Shik.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