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동아시아에서 국가의 계획적인 공간근대화 : 한국, 일본, 중국

원문정보

A Planned Spatial Modernization in East Asia : Comparative Study on Korea, Japan and China

김용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pace is the fundamental condition of human existence with time. The beginning of the modern era was also accomplished through fundamental changes in life space and socio-economic space. The modernization of East Asia has special experience. Japanese imperialism and colonialism have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start of the modern era in East Asia. Space is no exception. Colonialism and militarism worked together, the spatial modernization was carried out with rather strong and deliberate. This paper analyzes the modernization path and characteristics of East Asia centered on the categories of land system, housing policy, urban planning, and comprehensive national development plan. Since the East Asian countries have shared experiences of Japanese imperialism and colonial system, spatial modernization can be characterized by the sequentiality and path dependence of development process. And East Asian spatial modernization can be characterized by spatial commodification, standard and mass production mode of space, compact and total mobilization system, construction state, and state mode of production.

한국어

공간은 시간과 더불어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존재양식이다. 근대의 시작 역시 공간의 근본적 변화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한국, 일본, 중국의 동아시아 근대화는 특수한 경험을 갖고 있다. 바로 일본 제국주의와 식민주의가 근대의 시작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공간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식민주의와 군국주의 전략이 맞물 려 오히려 더 강력하게 계획적으로 추진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토지제도, 주택정책, 도시계획, 국토종합개발계획이 라는 범주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근대화 경로와 특성을 분석한다. 동아시아 3국은 일본 제국주의와 식민지 체제 라는 공유경험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동아시아 공간 근대화는 순차성과 발전경로의 의존성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 리고 동아시아 공간근대화는 공간 상품화, 표준적 대량생산 방식, 압축적·총력동원 방식, 토건국가, 국가주의 생산 양식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머리말: 동아시아 근대화에 대한 공간적 관점
 2. 공간개념과 근대공간의 인식
 3. 동아시아 공간근대화의 식민지적 연원
  1) 식민지 지배와 도시체계의 발달
  2) 일본의 공간근대화와 동아시아 근대화의 선도
  3) 식민지 조선의 공간유산
  4) 식민지 공간과 만주국의 하이 모더니즘
 4. 국가 주도적 공간 근대화 전략
  1) 거시적 공간계획의 수립과 추진
  2) 미시적 공간관리로서 토지제도 수립과 추진
  3) 동아시아 공간 근대화의 성격과 변화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용창 Kim, Yongchang.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교수, 국토문제연구소 겸무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