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牧牛子修心訣』의 저술과 간경도감 언해본 및 후인본에 관한 서지적 연구

원문정보

A Bibliographical Study of the Writing of Mogujasusimgyeol and Its Gangyeongdogam Eonhaebon and Huinbon

『목우자수심결』의 저술과 간경도감 언해본 및 후인본에 관한 서지적 연구

강순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bibliographical study of the writing and contents of Mogujasusimgyeol, its gugyeol and translation, and the Gangyeongdogam eonhaebon and huinbon Mogujasusimgyeol was witten by National Preceptor Bojo Jinul during the Goryeo Dynasty between the 28th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 (1198) to the 5th year of King Huijong’s reign (1209). The book is composed in a system of seobun, jeongjongbun, yutongbun, and uses 9 question-and-answer formats to focus on “gongjeokyeongjisim,” “don-o,” “jeomsu” and “jeonghaessangsu.” The gugyeol was done in Bihyeonhap of Gyeongbokgung Palace, with the process presumably directed by Sejo himself and involving Buddhist personages centered around Sinmi. The translation of the text was done by Sinmi. Gangyeongdogam published as a woodblock print book as Mogujasusimgyeol-eonhae, the name of the Korean language translation of Mogujasusimgyeol in the 13th year of King Sejo’s reign(1467). Sabeob-eo-eonha, of which the gugyeol and Korean translation was also done by Sinmi,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book. The original text is considered to be the edition published in Yeonghaebu’s Yunpilam in the 23rd year of King Sejong’s reign. The book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scripture translations of the times. The characteristic of the engraving is “sajussangbyeon bangwak 18.8×12.8 cm, yugye, banyeop 9-stanza-17-character, jussanghaeng, heukgu, sanghanaehyangheukeomi” with the size being 27.5×16.7 cm. The center of the book pansimje is marked with “susimgye” or “beob-eo.” The writing was done by An Hye, Yu Hwan, and Park Gyeong with hangeul written in square Gothic type and the Chinese characters in the original’s Yan Zhenqing type. The original text is Treasure No. 770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s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Treasure No. 934 in the Leeum, Samsung Museum of Art, and Treasure 1848 in a private collection, while undesignated original texts remain in a private collection and in Japan’s Sochangmungo. All of the editions are in good print condition and well-preserved. The Sochangmungo edition has Korean translation marks in the text, and the punctuation of the eonhae text is in jumuk. The edition from the 6th year of Yeonsangun (1500) modeled itself after the Gangyeongdogam edition and was engraved the same year in Bongseo Temple in Gyeongsang Province’s Gaya Mountain. It was engraved exactly like the Gangyeongdogam edition, making it nearly similar to the original text in content and format. The woodblocks engraved at this time are now housed in Haeinsa.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private collections (Seoul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208), etc. The edition in the Korea University Library only has Mogujasusimgyeol-eonhae without Sabeob-eo-eonhae compiled at the end. The edition made the year Seonjo came to the throne (1567) used the Gangyeongdogam edition as the model, but was engraved using new woodblocks made in Sunchang Chuiamsa in the same year. At the end of Mogujasusimgyeol-eonhae there is a publication record of “Yunggyeongwonnyeon(1567) Yuggiljeolladosunchangjichuiamgyeongan.” Although it imitates the existing form of the Gangyeongdogam edition, the sajudanbyeon lines are thick and the heukgu are daeheukgu. While there is no record of the writer, the handwriting is firm, the lines powerful, the printing clear, and the color of the ink even. The existing copy is held in the Korea University Library, but only as Mogujasusimgyeol-eonhae without Sabeop-eo-eonhae added at the end. This study will be used as future basic research material in the fields of bibliography, archival studies, and Korean studies.

한국어

이 글은 『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의 저술 및 내용, 구결 및 번역, 간경도감 언해본 및 후인본에 관한 서지적 연구이다. 『목우자수심결』의 저자는 보조국사 지눌이고, 저술 시기는 고려 명종 28년(1198)부터 희종 5년(1209) 사이이다. 이 책의 구성은 서분, 정종분, 유통분으로 체계화되었고, 9개의 문답형식을 빌어 공적영지심, 돈오와 점수 그리고 정혜쌍수에 집중되고 있다. 구결은 비현합에서 이루어졌지만, 세조가 직접 구결을 감독하고 신미를 중심으로 한 불교계 인사들이 관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책의 번역 작업은 신미에 의해 이루어졌다. 간경도감은 세조 13년(1467)에 비현합에서 구결하고 이를 신미가 국역한 『목우자수심결』을 『목우자수심결언해』의 서명으로 하여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끝에는 역시 신미가 구결하고 국역한 『사법어언해』가 뒤에 합철되어 있다. 이의 저본은 세종 23년(1441) 영해부의 윤필암에서 간행된 판본으로 여겨진다. 『목우자수심결언해』에는 당시 불경 언해의 특징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판식의 특징은 ‘四周雙邊, 半郭 18.8×12.8 cm, 有界, 半葉 9行17字, 註雙行, 中黑口, 上下內向黑魚尾’이고 크기는 27.5×16.7 cm이다. 판심제는 ‘修心訣’ 또는 ‘法語’로 표기되어 있다. 안혜ㆍ유환ㆍ박경이 필서하였고, 자체는 한글은 정방형 고딕체로 쓰여 있으며, 한문은 원필의 안진경체 필의가 보인다. 이 원간본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의 보물 제770호,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의 보물 제934호, 개인소장본인 보물 제1848호가 있고, 지정되지 않은 원간본으로 개인소장본과 일본의 소창문고본이 남아 있다. 이들 판본은 모두 인쇄상태가 양호하고 보관상태도 좋다. 소창문고본은 원문에 훈독부호가, 언해문에 구두점이 주묵으로 기입되어 있다. 연산군 6년(1500)본은 간경도감본을 저본으로 하여 연산군 6년(1500)에 경상도 가야산 봉서사에서 번각한 것이다. 간경도감판을 그대로 번각했기 때문에 내용과 체재에 있어 원간본과 거의 동일하다. 이때 새긴 목판이 현재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고려대학교, 개인소장본(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208호)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소장본은 『목우자수심결언해』만 남아 있고 『사법어언해』가 합철되어 있지 않다. 선조 즉위년(1567)본은 간경도감본을 저본으로 하되 선조 즉위년(1567)에 순창 취암사에서 새로 판을 조성하여 판각한 것이다. 『목우자수심결언해』의 말미에 ‘隆慶元年(1567)六日全羅道淳昌地鷲菴開刊’의 간행기록이 있다. 기존의 간경도판의 형식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지만, 사주단변의 선이 굵고 흑구도 대흑구이다. 필사자의 기록이 없어 누구의 필체인지 알 수 없지만 필체가 강하고 필선에 힘이 있으며 인쇄가 선명하고 먹색이 고르다. 현존본은 고려대학교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데, 『목우자수심결언해』만 남아 있고 『사법어언해』가 뒤에 합철되어 있지 않다. 이 연구는 향후 서지학, 기록학, 한국학 분야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지눌의 생애와 『목우자수심결』의 저술
 3. 『목우자수심결』의 구결 및 국역
 4. 『목우자수심결언해』의 판본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순애 Kang, Soon-Ae.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문헌정보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