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大畜觀書目』과 『承華樓書目』에 관한 考察

원문정보

A Study on Daechukkwan-seomok and Seunghwaru-seomok

『대축관서목』과 『승화루서목』에 관한 고찰

이정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found out purpose of construction and timing using various of historical records and I identified the main fuctions of each library analyze the contents of the catalog. And found out how to write the catalog.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compare the actual functions of the library and the amount of books contained in the library. As a result, Daechukkuan and Seunghwaru are estimated to have been constructed between 1782 and 1784. Seunghwaru carried out function of storing books and it was the study room of the prince. On the other hand, Daechukkuan only stored books. Analysis of how to write a catalog, simply put the book of title and volumes. So presumed to be used as a checklist. And look at the theme of the book on each catalog, both libraries have many anthology, and The Daechukkuan-seomok contains a total of 18 novels written in korean, including “劉氏三代錄”, which suggests that they were widely used in royal palac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현존하는 여러 사료를 통해 대축관과 승화루의 건립 목적과 건립 시기 등을 유추하고, 목록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각 목록의 체제와 기술방법의 특징이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또한 수록된 자료를 분석하여 대축관에 소장된 장서의 특징을 살펴보고, 두 목록의 특징을 토대로 각 서고의 기능과 수록된 도서의 주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축관은 정조 6∼8년(1782∼1784)에, 승화루는 정조 6∼7년(1782∼1783)에 건립된 것으로 모두 거의 같은 시기에 건립 된 것으로 추정된다. 승화루는 학습과 서적 보관의 두 가지 기능을 수행했다면 대축관은 서적 보관의 기능이 강했다고 볼 수 있다. 두 목록의 목록 기술 방법을 살펴본 결과 모두 간단히 서명과 책 수 정도를 기입하여, 서고 관리의 체크리스트 정도로 활용된 것으로 보였다. 또한 각 서고에서 소장하고 있었던 책의 주제를 보면, 두 서고 모두 문집류의 비중이 높았으며 『대축관서목』에는 『劉氏三代錄』을 비롯해 총 18종의 언해본 소설류가 포함되어 있어, 당시 궁궐 내에서도 한글 소설류가 활발히 이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목차

<초록>
 
 1. 緖言
 2. 大畜觀의 建立과 『大畜觀書目』의 作成
 3. 承華樓의 建立과 『承華樓書目』의 作成
 4. 『大畜觀書目』과 『承華樓書目』의 特徵 比較
 5. 結論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정효 Lee, Junghyo.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과 학예연구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