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was analyzing the Perception of Golf Round Training by University Golfers through Q methodology. [Method] For the purpose, Based on the small sample theory, The subjects were selected for 42 university golfers, 25 Q statements of Q samples were extracted finally out of the 40 on the types. The data collected by Q classification were analyzed by Principle Component Factor Analysis was applied using QUANL 1.2 program. [Result] The first type(N=17, Athletic performance seeking type) showed the importance of practical exercises, The second type(N=7, Convenience seeking type) was shown to take consideration the ease of use during golf round training. And the third type(N=19, Human relations seeking type) appeared to be engaged in golf round training to improve human relationships. [Conclusion] University golfers improve their athletic performance through golf round training and to identify their problems that they did not feel at the golf driving range during the golf round. On the other hand, it showed a negative evaluation about playing time, transportation and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people, tee-off time. Also, according to my ability, i think it is important to improve performance, ease of use, pursuit of human relations, and so on.
한국어
[목적] 이 연구에서는 대학 골프선수들의 라운드훈련 인식에 관한 주관적 인지 성향을 Q방법론적 접근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연구대상자는 소표본 이론에 근거하여 K대학 골프선수 42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 으며, Q표본은 총 40개의 진술문 중 전문가 회의를 거쳐 최종 25문항의 Q진술문을 추출하였다. Q분류에 의해 수 집된 자료는 QUANL 1.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요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제 Ⅰ유형(N=17, 경기력추구형) 은 실전 연습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 Ⅱ유형(N=7, 편의추구형)은 라운드 훈련 시 이용의 편의성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 Ⅲ유형(N=19, 인간관계추구형)은 인간관계 개선에 주안점을 두고 라운드 훈련에 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 골프선수들은 라운드 훈련을 통해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라운드 시 연습장에서 느끼지 못했던 자신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등 긍정적인 측면을 고려함과 동시에, 플레이시간, 교통수 단 및 골프장 부킹의 제약, 티오프 시간 등 부정적 측면에 대한 평가도 나타났다. 또한 본인의 실력에 따라 경기 력 향상을 중요시 하거나, 이용의 용이성, 인간관계 추구 등의 유형으로 구분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1. Q표본(Q-sample)
2. P표본(P-sample)
3. Q분류(Q-sorting)
4. 자료처리방법
결과
1. 대학 골프선수들의 라운드 훈련 시 인식 유형
2. 유형 간 차이점과 공통점 분석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