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how the social support for middle and high school Taekwondo athletes related t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ports confidence. With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213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es participating in 4th Sok-Cho open Black Belt Center national were used for the actu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8.0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identifi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method and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influenc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other words, peers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self-related goal orientation and task-related goal orientation, and teachers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task-related goal orientation. Second, social support influences sports confidence. In other words, teachers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proving ability and physical and mental preparation, and parents had positive influence on coach leadership. Thir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ffects sports confidence. In other words, the task-oriented goal orientation positively affects proving ability, physical and mental preparation and coach leadership, and self-related goal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proving abili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ocial support toward middle and high school Taekwondo athletes affec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ffects sports confidence.
한국어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들의 사회적 지지가 성취목표지향성과 스포츠 자신감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제4회 속초 오픈 블랙벨트센터 국제태권도 대회에 참여한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추출법을 이용하여 213명의 자료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 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변인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과 검증 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가 성취목표지향성에 영향을 미친다. 즉, 동료는 자아관련목표지향성과 과제관련목표지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는 과제관련목표지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스포츠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 즉, 교사는 능력입증과 신 체・정신적준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는 코치지도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셋째, 성취목표지향성이 스포츠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 즉, 과제관련목표지향성은 능력입증, 신체・정신적준비 및 코 치지도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관련목표지향성은 능력입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종합해 살펴볼 때, 중・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들의 사회적 지지가 성취목표 지향성에 영향을 미치고, 성취목표지향성은 스포츠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처리
Ⅲ. 결과
1. 사회적 지지, 성취목표지향성, 스포츠자신감에 대한 상관관계
2. 사회적 지지가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3. 사회적 지지가 스포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4. 성취목표지향성이 스포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