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66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taking physical activity class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male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emale in all factors of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students having the better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had significantly higher in positive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Mastery-approach goals and performance-approach goals positively affected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on university students while mastery-avoidance goals negatively affected on both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한국어
본 연구는 교양체육 실기수업을 수강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정서와 운동지속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교양체육 실기수업을 수강하는 남학생 229명, 여학생 137명, 총 366명을 대상으로 성별 및 운동수행력에 따른 성취목표성향, 운동정서 그리고 운동지속 요인의 차이를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정서와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 간 운동정서의 모든 요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운동지속 역시 모든 요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수행 력에 따른 요인 간 차이 분석에서는 성취목표성향의 수행접근과 숙달접근에서 상위그룹이 중위 및 하위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정서와 운동지속 요인 모두에서 상위그룹이 중위 및 하위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중위그룹도 하위그룹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목표성향의 숙달접근과 수행접근은 운동정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숙달회피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지속에서도 수행접근과 숙달접근이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숙달회피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접근목표 성향은 운동정서와 운동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회피목표성향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자료분석
III. 결과
1. 성별에 따른 요인 간의 차이
2. 운동수행력에 따른 요인 간 차이 분석
3.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정서에 미치는 영향
4.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IV.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