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Exploratory Study on Effectiveness of Customer Reference Contents in B2B Digital Environment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business reference contents, which is representative contents of B2B digital marketing.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framework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type of business reference contents is divided into functional, emotional and social contents. Our data from 141 managers or company located in South Korea.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as follows: First, functional contents and affective contents positively influence on ease of use. However, social contents have no significant on ease of use. Second, functional, affective, social contents are positively related on usefulness.
한국어
본 연구는 B2B 디지털 마케팅의 대표적인 컨텐츠인 고객추천제시 컨텐츠에 대한 효과성을 파악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의 프레임웤을 적용하여 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고객추천 컨텐츠의 유형은 기능적, 감성적 그리고 사회적 컨텐츠로 구분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고객추천 마케팅을 수행하는 기업 또는 이를 한번이라도 경험한 종업원 들 14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사용 용이성에는 기능적 컨텐츠 및 감성적 컨텐츠 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예상과 달리 고객추천제시의 사회적 컨텐츠는 부의 영향이 있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사용 유용성에 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고객추천 제시의 기능적 컨텐츠, 감성적 컨텐츠, 그 리고 사회적 컨텐츠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2.1. 고객추천제시 컨텐츠(Cusotmer Reference Contents)
2.2. 고객추천제시 컨텐츠 유형
III. 가설 설정
3.1. 고객추천제시 컨텐츠와 지각된 사용 용이성
3.2. 고객추천제시 컨텐츠와 지각된 사용 유용성
IV. 연구방법
4.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4.2. 표본의 선정 및 자료수집 방법
V. 연구결과
5.1.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5.2. 가설검증
VI. 결론
6.1. 요약 및 시사점
6.2.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