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민간경비원의 직무만족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of Private Security Guard

김준기, 이상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role and the importance of private security are emphasized in an independent way, as well as in a supportive way for police affairs,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private security guards by investigating their job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some solutions for improvement of their job satisfaction, such as enhancing task motivation and professionalism of private security guards. For the research were used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4 program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nalytic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st fundamental factor i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was 'social recognition'. Social recognition forms when private security guards are trusted as professionals and the value of a job is enhanced. The policy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private security guards can be explained as follows. First, a government certific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an attempt to recruit professional private security guards.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work ability of private security guards,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a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 for a private security guards and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Third, the wage of private security guards should be readjusted to a realistic level. Fourth, it is necessary to secure substantial effect on the permission and the supervision of private security business. Finally, the business area based on public interest should be expanded.

한국어

본 연구는 공경비로 대변되고 있는 경찰의 치안업무에 대한 보조역할 뿐만 아니라 때로는 독립적 역할로써 민간경비의 역할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민간경비업의 구성원인 민간경비원의 직무만족도를 고찰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 민간경비원의 근무의욕 및 전문성 제고 등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기법은 빈도분석을 비롯하여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민간경비원의 직무만족도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사회적 인정’으로 나타났는데, 사회적 인정은 전문직업인으로서 신뢰받고 직업적 가치를 높일 때 형성된다. 민간경비원의 직무만족도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민간경비원 공인자격제도를 신설하여 전문성 있는 민간경비원을 채용해야 한다. 둘째, 민간경비원의 업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민간경비원 전담교육기관 지정 및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민간경비원의 보수체계 현실화가 필요하다. 넷째, 민간경비업의 허가 및 감독에 대한 실질적인 효과성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공익적 업무영역이 확대되어야 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준기 Kim, Joon-Ki. 정부중앙기관 공무원
  • 이상열 Lee, Sang-Yeol. 중원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