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민임대주택의 평면구성비 변화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장성군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nges in Spatial Composition Ratio of National Rental Houses - Focused on the Jangseong-gun Jeollanam-do Province -

김홍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area ratios by space through floor plans of national leasing houses constructed by the LH in Jangseong-gun,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floor plans of public leasing housing complexes built during the 1970s-80s and those during the 2010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of floor plans by period, the type of Bedroom> Livingroom> Common Area> Kitchen+Dining> Multi-purpose room> Bathroom> or the type of Bedroom> Livingroom> Kitchen/Dining> Common Area> Bathroom> Multi-purpose room were found to be high during the 1970s. Whereas, the type of Common Area>Living room(Kitchen/Dining included)>Bedroom>Bathroom>Front Entrance was found to be high during the 2010.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atio of Bedroom and Living room was found to be high during the 1970s, but after 2010s, the spacial composition ratio of Common Space, Living room, and Bedroom is getting higher in the order. Second, in terms of the composition ratio of floor plans by the area of unit household, among the floor plan of C-1, B-2, B-3, C-2 which were used since 2010s, the spatial ratio of Bedroom was maintained in the range of 20%; while during the 1970s, the Bedroom space of A-1(46%), A-2(46%), and A-3(41%) was found to be higher than 40%.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ize of bedroom space has doubled over time. In terms of the changes in the spatial ratio of Living room, A-1(15%), A-2(22%), and A-3(23%) were found during the 1970s. Compared to the recent floor plans of C-1(28%), B-2(25%), B-3(33%), and C-2(34%) which are applied in Jangseong-gun, Jeollanam-do province, no big changes have been found, particularly in the small floor plans (20% range).

한국어

본 연구는/ 1970-’80년대 공공임대주택단지의 평면과// 2010년대 이후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주도로/ 전남 장성군에 건설된 국민임대주택의 /각 세대별 평면사례를 통해/ 실별 면적비율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기위한/ 연구로써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대별 평면면적에 따른 각 공간의 구성비율은/ ‘70년대 Type에서는 침실>거실>공용면적>주방+식당>다용도실>화장실>이거나// 침실>거실>주방/식당>공용면적>화장실>다용도실로 평면구성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2010년 이후/ Type에서는 공용공간>거실(주방/식당포함)>침실>화장실>현관 순으로 분석돼 /’70년대에는 침실과 거실이 높은 비율로 차지한 반면/ 2010이후에는 공용공간과 거실, 침실 순으로/ 공간구성비율이/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단위세대의 면적에 따른/ 평면공간 구성비율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C-1, B-2, B-3, C-2 등/ 2010년 이후 평면에서/ 침실은 면적비율은 20%대를 유지한 반면 /‘70년대 침실공간인 A-1(46%), A-2(46%), A-3(41%)로 모두 40%중반을 넘는 것으로 분석돼 /시대별로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거실공간의 구성비율의 변화는/ ’70년대 A-1(15%), A-2(22%), A-3(23%)대였으며/, 최근에 전남 장성군에 적용된 평면유형과의 C-1(28%), B-2(25%), B-3(33%), C-2(34%)대로/ 년도별 변화양상은 저평형대에서는 20%대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72(㎡)이상에서는 거실면적배분이/ 10%가까이 증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타 주방/식당, 화장실, 현관 등의 면적비율의 시대별 변화양상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선행연구 고찰
  2.2 공공임대주택의 개념 및 종류
  2.3 단위세대별 평면구성의 변화요인
 3. 일반 현황분석 및 평면유형 도출
  3.1 1971-80년대 평면유형-A유형
  3.2 전남 장성군에 적용된 평면-B, C유형
 4. 국민임대주택의 평면구성비 변화 분석
  4.1 임대면적에 따른 시대별 평면구성비의 특성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홍배 Kim, Hong-Bae. 광주여자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조교수, 공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