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우울과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on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 Moder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y

김아롱, 김정민, 송근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iscriminating approaches to therapeutic intervening on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are needed because they have differences while having high similar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pecific mechanisms of cognitive processes and contents in each disorders for effective therapeutic invention on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Accordingly, the relative influences of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discrepancy on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in undergraduates were explored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y in the influence of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on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in this study. A total of 470 students from two colleges in Seoul, Gyeonggi and other area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that was constructed based on several relevant instruments, such as 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 (SDSAS), Self-Questionnair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ADS). For data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 t test, frequency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WIN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self-discrepancy,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gender were the variables that explained the college students’ depression. Second, self-discrepancy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self-focused and depression, but no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 anxie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한국어

우울과 사회불안은 높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구별되는 차이점을 지니고 있어 각 장애의 치료적 개입에 있어 차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울과 사회불안의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을 위해 각 장애의 인지적 과정 변인과 인지적 내용 변인의 구체적 기제를 밝히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자기불일치가 우울 및 사회불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과 함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우울 및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및 기타 지역에 소재한 8개 대학(교)의 남녀 학생 470명을 대상으로 자기초점주의 척도(SDSAS), 자기 질문지 척도(Self-Questionnaire), 우울 척도(BDI),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척도(SAD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분석을 위해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및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이 시행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우울을 설명하는 변인은 자기불일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성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불안을 설명하는 변인은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자기불일치, 성별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불일치는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우울 간의 관계에 대해 조절효과를 갖는 반면,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조절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자료 분석
 결과
  변인들의 성차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대학생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자기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대학생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자기불일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대학생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
  대학생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아롱 A Long Kim.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김정민 Jung Min Kim.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송근아 Keun Ah Song.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