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守心正氣考 - 고대 사유형식의 복구

원문정보

Consideration of Susimjeonggi(수심정기)

수심정기고 - 고대 사유형식의 복구

권태명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46호 2018.03 pp.163-19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reatise is a study contemplating implication of a terms “susimjeonggi(守心正氣))” in the view that Donghak(東學) is prototype of three teachings in East Asia. In the previous studies there are some monotonous accesses, which is of a Confucianism or of Taoism even of Shamanism. Then they had determined susimjeonggi is some study of energy(氣運工夫) or “Seonggyeongsin(誠敬信)”. These resulted in the variety of study of Donghak. But in view that Donghak is prototype of Teachings, “Susimjeonggi” could be contemplated to appears itself in creative appearance. An aim of these treatise is disclosing Donghak out to whole aspects by reconsideration of “Susimjeonggi” This is attemped for achievemet by choosing terms “sugisim jeonggigi”(守其心正其氣) in「 the Article of a science論學文」 『DonggyeongDaejeon東經大全』 First step is a contemplation of terms. “gisim其心” is “initial mind of seeking after truth”. Keeping initial mind(守其心) through whole spiritual experience(降靈) control energy(氣運) to enable contemplate until the end. These keeping is required inevitably to attain a possession and enlightenment. “gigi其氣” is the ascending chi(氣) during the spiritual experience. Reset(正其氣) is control spring emotional energy to proceed to next contemplation without waver in the keeping initial seeking mind. Reset is the result of keeping initial mind and they are mutual in works. Then they result in some truth propositions of Donghak. Spiritual experience is reduced to “myeongdok明德”: there are “solemn oath of eternal acception(永侍之重盟)” · “Sycheonju侍天主” · “Boguk-anmin輔國安民”. These truth propositions are the fruits which had ripped in the field of “Muwangbulbog jiri無往不復之理” by “Susimjeonggi” According to these comprehension, they have shown “Susimjeonggi”is new thinking way for completion of human personality reaching the “Linyiyegi仁義禮智”. So acceptable is “spiritualism降靈信仰” eventually. In philosophy object of thinking is extended and includes inner one. And also “Giwhajisin氣化之神” appears meaningfully. “Giwha氣化” is a emotion and also the power actuating thinking, which correct squeezed rationalism of western tradition of philosophy. Finally “Susimjeonggi” is to say new rationalism of Donghak. The emotion and the reason works mutually and proceeds to the ultimate in Donghak. This occult is “Giwhajisin” Donghak is demonstrating a diachronic scholarship, which ancient way of thinking is still acceptable in modern. and confirm some remains for further study.

한국어

본 논문은 동학이 고대사상의 원형성을 가지며 그런 관점에서 수심정기(守 心正氣)가 가지는 함의를 고찰해보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동학을 원형적으로규정하기보다는 도교나 유교로 또는 불교적으로 접근하였다. 따라서 수심정기도 기운공부라고 규정하거나 성경신으로 규정하는 견해들이 있었다. 필자는 이런 일면적 접근도 깊이를 더해주고 있지만, 동학을 원형적인 심학으로보고 접근할 때 수심정기의 의의와 독창성이 더 잘 드러난다고 본다. 이 연구의 목적은 수심정기를 재고(再考)함으로써 동학을 더 총체적으로 조명해보는데 있다. 그 방법으로는 수심정기(守心正氣)는「 論學文」의 “수기심정기기(守其 心正其氣)”와 같다고 보아 논의를 시작한다. 그 내용은 먼저 수심정기(守心正氣)의 용어를 고찰한다. 기심(其心)는 구도심(求道心)이다. 수기심(守其心)은 구도의 초심(初心)을 지킴으로써 강령체험 처음부터 끝까지 관통하며, 기화(氣化)를 다스리고 유지하여 사유를 촉발시킨다. 수심(守心)은 원형적 깨달음과 신명을 얻어내는데 필수불가결한 마음 자세로서 요청된다. 기기(其氣)는 강령 중에 고양된 氣이다. 정기기(正其氣)는 구도를흐트러지지 않고 지속하기 위하여 약동하는 강령의 기운을 초심으로써 제어하는 것이다. 정기(正氣)는 수심(守心)의 결과이며 상호작용한다. 이를 통해 감동은 정제되고 사유는 정합성을 높이며 지혜로 나아가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수심정기(守心正氣)를 통해 성취하는 동학적 진리 명제들을 보인다. 강령 체험은 결과적으로 명덕(明德) 체험으로 환원되는데, 수심정기(守心正氣)를 통하여 영시지중맹(永侍之重盟)하고 시천주(侍天主)와 보국안민(輔國安民)으로 결실된다. 강령체험을 관통하는 수심정기로 인하여 도출하는 진리명제들은 명덕(明 德)한 가운데 무왕불복지리(無往不復之理)에서 맺어진 결실이다. 이러한 이해는 수심정기가 인의예지에 도달하고 인격을 완성하는 새로운사유 방식임을 보여준다. 그 결과 강령신앙은 수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철학적으로는, 사유(思惟)의 대상(對象)을 확장하여 심내존재(心內存在)도 포용한다. 다음으로 주목되는 것은 수심정기에서 승화된 기화지신(氣化之神)이다. 기화(氣化)는 감동(感動)인데, 사유(思惟)를 추동(推動)하는 힘이 된다. 이것은 서양철학 전통에서 감정을 왜곡하는 이성주의(理性主義)를 교정할 수 있다. 수심정기는 동학적 이성주의(理性主義)이다. 동학에서는 감성과 이성이 상호작용하여지극한데로 나아간다. 이 신묘함이 기화지신(氣化之神)이다. 결론적으로 동학은 수심정기를 통해 고대 사유형식을 현대에 수용 가능한 것을 증명한 통시적(通時的) 학문이다. 덧붙여 동학의 원형성을 고찰하는 본격적인 연구에서는 어떤 과제들이 남았는지 확인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수심정기(守心正氣)란 무엇인가
 3. 수심정기(守心正氣)의 공효(功效)
  1) 명덕(明德)
  2) 무왕불복지리(無往不復之理)
  3) 영시지중맹(永侍之重盟)
  4) 시천주(侍天主)
  5) 주문(呪文)과 영부(靈符)
 4. 동학의 특성
  1) 무위이화(無爲而化)
  2) 독창성(獨創性)
 5. 철학적 고찰
  1) 사유 대상(對象)의 확장
  2) 이성주의(理性主義)의 교정
 6.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태명 Taemyong Kwon.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