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재난안전체험관의 민-관 협력 운영 비교 분석 - 미국, 캐나다, 일본 사례 -

원문정보

Public-private Partnership for Operating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Center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S, Canada and Japan -

Sung Soo Byun, Jae Eun Lee, Dohyeong Kim, Jong Ii Na, Gi Geun Yang, Ju Ho Lee, A Yeon Kim, Ga Hee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optimal operational plan of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center (i.e. safety village)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Disaster safety education is expected to enhance disaster resilience and the educational impacts could be augmented when hands-on experiences are emphasized during the education process. However, it appears difficult for local governments with limited resources to obtain sustainable budgets to maintain and operate such education facilities. Thus, we reviewed and compared the operational budget and safety experience programs of various safety villages in the US, Canada and Japan and drew out useful benchmarking implications for local governments in Korea. We found that the private sector has been actively engaged in operating safety villages in the US and Canada, while the safety experience centers in Japan offer experience programs tailored to the unique disaster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government. For the improved operation of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center in Korea, we suggest compulsory safety education to ensure citizen’s participation and operational sustainability of the center.

한국어

이 연구는 민관협력을 통한 지방정부의 재난안전체험관 효율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이론적 논의를 통해 재난안전교육 및 민관협력의 개념과 재난안전체험관의 기능을 알아보았다. 효율적 재난관리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레질리언스는 재난안전교육을 통해 강화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재난안전체험시설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재난안전체험관의 운영 예산 및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였고, 외국의 재난안전체험관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벤치마킹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국과 일본의 재난안전체험관은 운영방식과 체험프로그램에 서로 차이가 있으며, 각기 다른 의미의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미국의 사례는 민간부문이 재난안전체험관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다음으로 일본의 재난안전체험관은 각 지역의 자연 재해 상황 및 특성에 맞춘 안전체험관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해외 사례의 시사점을 적용하기 위한 선결조건으로 이 연구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관심 제고와 체험관 건립 초기단계 참여, 초⋅중등 학생에 대한 안전교육의 의무화 등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난안전교육 및 민관협력에 관한 이론적 논의
  1. 재난안전교육
  2. 재난안전교육과 레질리언스
  3. 재난안전체험관의 기능
  4. 민관협력과 기업의 사회적 공헌
 Ⅲ. 우리나라 재난안전체험 운영 및 프로그램 현황
  1. 재난안전체험관 운영 예산 현황
  2. 재난안전체험관 운영 프로그램 현황
 Ⅳ. 해외 재난안전체험관 운영 사례 분석
  1. 미국 및 캐나다
  2. 일본
  3. 해외 사례의 시사점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Sung Soo Byun National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Korea
  • Jae Eun Lee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Korea
  • Dohyeong Kim School of Economic, Political and Policy Sciences,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GR 31), 800 W Campbell Road, Richardson, TX 75080-3021, U.S.A.
  • Jong Ii Na Department of Management of Social Systems and Civil Eng., Graduate School of Eng.,Tottori University, 4-101, Koyama Minami, Tottori, Japan
  • Gi Geun Yang Department of Fire Service Administration, Wonkwang University, 460 Iksandae-ro, Iksan-si, Jeollabuk-do, Korea
  • Ju Ho Lee Department of Fire Service Administration, Sehan University, Namsan-gil, Sinpyeong-myeon, Dangjin-si, Chungcheongnam-do, Korea
  • A Yeon Kim National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Korea
  • Ga Hee Kim National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