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표준강수증발산량지수를 이용한 북한지역 과거와 미래 가뭄 평가

원문정보

An Assessment of Past and Future Droughts in North Korea Using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Jin Hyuck Kim, Suk Ho Lee, Byung Sik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rising temperatures and changes in rainfall patterns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countries suffering from droughts and floods - water disasters - worldwide. The conventional drought analysis is based on the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 which only reflects the amount of precipitation. However, the limitation of the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is that it takes precipitation as an exclusive factor for drought analysis and does not provide a full representation of water balance such as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which are often influenced by climate variability. Therefore, the study used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incorporating both rainfall and evapotranspiration in application for drought analysis in North Korea.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drought would intensify in the years ahead due to rise in temperature and increased evapotranspiration in spite of increased precipitation.

한국어

기존의 가뭄분석 연구는 강수량만을 사용하는 표준강우지수(SPI)를 이용한다. 하지만 표준강우지수(SPI)는 가뭄분석에 있어서 가뭄 인자를 강수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기후변동성으로 인한 강수, 증발산량 등의 물 수지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뭄분석에 있어서강수뿐만이 아닌 증발산량을 고려할 수 있는 표준강수증발산량지수(SPEI)를 사용하여 북한지역의 가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1981년부터 2016년까지의 기상 관측치를 사용하여 현재 북한 가뭄분석을 통해 표준강수 증발산량 지수의 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IPCC AR5의 RCP기후변화 시나리오 중 가장 기후변화에 극심한 영향을 받는 RCP8.5 시나리오를 통해 모의된 미래강수 및 기온자료(2011~2100년)을 이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가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미래로 갈수록 강수량이 증가하나, 기온 상승으로 인한 증발산의 증가로 인해 가뭄의 심도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동향
 Ⅲ. 연구방법
 Ⅳ. 이론적 배경
  1. 표준강수지수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2. 표준강수증발산량지수 SPEI(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Ⅴ. 적용 및 결과
  1. 대상유역
  2. 강수량 분석
  3. 가뭄지수 산정
  4. 미래 기후변화시나리오 적용
  5. 미래기후변화 시나리오 SPEI 적용
 Ⅵ.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Jin Hyuck Kim Department of Urban & Environmental Disaster Prevention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346 Joonang-ro, Samcheok-si, Republic Korea
  • Suk Ho Lee Department of Urban & Environmental Disaster Prevention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346 Joonang-ro, Samcheok-si, Republic Korea
  • Byung Sik Kim Department of Urban & Environmental Disaster Prevention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346 Joonang-ro, Samcheok-si, Republic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