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번역논문

조선어 고유어휘 가운데 “漢語에서 유래된 어휘(漢源詞)” 試探

원문정보

Interposition of words derived from interposition is the most common vocabulary of the Korean language.

조선어 고유어휘 가운데 “한어에서 유래된 어휘(漢源詞)” 시탐

鄭仁甲, 鄭載男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일반적으로 조선어의 漢語 차용어휘(漢語借詞)는 中古시기 漢語音係만이 있 다고 인식하지만, 여타 주변민족 언어의 漢語 차용어휘 구분과 다소 차이가 있을 뿐이며, 조선어의 차용어휘도 그 수용 시기를 早期와 晩期로 구분하여야 한다. 고대 조선어에는 上古 漢語音係의 차용어휘 체계가 일찍이 존재하였으며, 기원전 수세기 전 부터 漢語는 이미 조선어에 대량으로 침투하였고, 兩漢 시기에 이르러 이미 차용어휘 체계를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漢語 차용어휘는 漢字 上 古音에 유의하여야 한다. 上古 朝鮮語 音韻계통은 매우 간단하여, 예를 들어 복 합모음과 자음韻尾 등이 없었기에 漢字에 대한 讀音 묘사가 지극히 粗略하였으 며, 후대에 조선어 음운계통이 복잡하게 된 이후에는 漢字讀音에 갈수록 가까워 지는 對音이 새로 만들어졌고, 원래의 對音은 고유어휘로 전환되었다. 어휘 형태상 多음절 어휘 위주의 조선어가 單음절 위주의 上古 漢語 어휘를 수용할 때, 최대한 音段을 길게 늘리는 방법을 취하였는데, 漢語 단음절을 語素 로 만들고. 앞뒤에 관련되는 조선어 語素를 더하여 다음절 어휘를 만들거나, 또 는 단음절 내부에서 최대한 音段을 길게 늘림으로써 音位數를 가능한 많이 증가 시켜 語音 결합구조를 복잡하게 하여, 의미 차이를 만들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조선어 일부 고유어휘와 漢語詞 사이의 音義상 관계 그 리고 語音상에서 체계적인 대응 관계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조선어에 漢源詞 가 확실히 존재하였음을 증명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대응관계는 語音상 뿐만 아니라 인칭대명사 및 지시대명사 등 일정한 문법적 의미를 갖는 어휘 중에서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설명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조선어 고유어휘의 漢字 유래
 III. 조선어 고유어휘의 漢字 수용시 音韻의 변화과정
 IV. 조선어 인칭대명사 및 지시대명사의 漢字 유래 및 수용 과정
 V. 조선어 사회현상 언어의 漢字 유래 및 수용과정
 VI. 맺음말

저자정보

  • 鄭仁甲 정인갑. 延邊大學 77학번 본과 졸업생, 조선족.
  • 鄭載男 정재남. 現任 駐武漢大韓民國總領事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