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한중일『 서유기』 기반 애니메이션의 스토리텔링 연구 - 손오공 캐릭터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orything Story of the Animality of the West European Animation

안창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Journey to the West is the way the Sanzang master and his disciples to learn from Tianzhu encountered difficulties adventure stories.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the adventures of Journey to the West have been inherited and expanded in various forms. This means that the story conveyed the media changes, but also to see the media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new Storytelling. The Storytelling features of each country can be found on the animation of Korea, China and Japan based on the Journey to the West.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tradition and educational effect, China has a vivid representation of its characteristics. And the Journey to the West to China animation made in China positively reflects the value of Chinese society at that time. Relatively speaking, Japan has permeated its own culture in the Journey to the West and created various changes. The most obvious example is the Sanzang master and Sha Wujing’s character. Japanese animation is often the place for the female monk, Sha Wujing into Japanese monster kappa. In Korea, the story of the Journey to the West is very interesting, and because of the fragile foundation of the animation industry, in addition to “Super Board”, there is almost no attention to animation. Although the foundation of the animation industry is fragile, and in “Super Board”, and actively use modern things, in Korea created a new Sun Wukong character.

한국어

서유기는 삼장법사와 그의 제자들이 불경을 구하기 위해 천축으로 가는 도중수 많은 곤경을 이겨내는 모험이야기다. 서유기의 모험 스토리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계승되고 확장되었다. 즉 시대에 따라 이야기를 전달하는 미디어가 달라졌고, 미디어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이 수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중일 삼국의 서유기 기반 애니메이션을 보면 각국의 스토리텔링 특성이 드러난다. 중국은 전통을 중시하면서 교육적 효과를 중시하기 때문에 원작에 대한 충실한 재현을 특성으로 한다. 중국에서 제작한 손오공 캐릭터는 작품이 제작되던 시기의 사회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일본은 서유기 이야기를 일본문화에 투영하여 다양한 변주를 만들어내고 있다. 두드러진 사례는 삼장법사와 사오정 캐릭터에 드러난다. 삼장을 종종 여성으로 대체하고, 사오정은 일본의 요괴 갓파로 그려냈다. 우리나라도 일찍부터 서유기 이야기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었다. 비록 애니메이션이 발달한 일본의 영향을많이 받았지만, 한국적 특색을 만들어내기 위해 손오공에게 태권도 도복을 입게하는 등 캐릭터와 스토리에 변용을 주었다. 특히 <날아라 슈퍼보드>는 현대적 기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손오공 캐릭터를 만들어냈다. 결론적으로 거대한 동아시아 애니메이션 시장을 고려하면, 참신한 손오공 캐릭터를 가진 새로운 서유기 애니메이션의 창작이 시급하다고 본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서유기 기반 한중일 애니메이션의 특성
  1. 충실한 재현을 추구하는 중국
  2. 다양한 변주를 시도하는 일본
  3. 새로운 발전을 기다리는 한국
 III.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안창현 Ahn, Chang-hyun.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