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외로움의 정도와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시청행태 : 프로그램 내 등장인물과의 의사사회적 상호작용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Loneliness and Viewing Behaviors of Real Variety Programs : The Effect of Para-Social Interaction on Feeling of Happiness

김기용, 박남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how the degree of loneliness is associated with television viewers' amount of real variety show viewing, program viewing fidelity, and program viewing royalty. In addition, the study looked into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egree of loneliness and para-social interaction with the character in real variety shows. From a survey of 206 college students, the study found that the lower degree of family loneliness was related to the higher degree of amount of real variety show viewing. On the contrary, the higher degree of romantic loneliness was related to the higher degree of program viewing royalty. In addition, the study uncovered that the lower degree of family loneliness is associated with the higher degree of para-social interaction. Moreover, the lower degree of social loneliness and chronic lonelines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the feeling of happiness. Of importance was that the higher degree of para-social interaction with the character led to the higher feeling of happiness, implying that it is necessary to highlight the role of para-social interaction in order to predict the viewers' feeling of happiness from watching real variety shows.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study of the association between loneliness and television viewing, which has not been well-documented.

한국어

본 연구는 외로움의 정도에 따라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시청량, 시청충실도, 그 리고 시청충성도가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외로움의 정도, 리얼 버 라이어티 프로그램 시청행태가 프로그램 내 등장인물과의 의사사회적 상호작용과 행복 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전국 20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 결과, 가 족 고독감의 정도가 낮을수록 시청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낭만적 외로 움의 정도가 높을수록 시청충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친교적 외로움을 적 게 느낄수록, 시청량이 많을수록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의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친교적 외로움, 만성적 외로움을 적게 느낄수록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을 통해 행복감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 그램을 단순히 많이(시청량), 오래(시청충실도), 그리고 자주(시청충성도) 시청한다고 해서 시청 후 행복감이 증대된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내 등장인물과의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의 정도가 높을수록 시청 후 행복감의 정도는 높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즉,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 시청자들에게 주는 행복감의 정도 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시청행태가 아닌,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학문적으로 크게 주목을 받지 못했던 외로움의 정도와 텔레비전 프로그램 시청간의 관계, 또한 그에 따른 사회심리적 효과의 이해를 돕 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논의
  1) 외로움과 텔레비전 시청
  2) 외로움과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3)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시청행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4) 외로움과 행복감의 정도
 3.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2) 주요변인의 측정
 4.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결과
  2) 외로움의 정도와 시청행태
  3) 외로움의 정도, 시청행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5. 결론
  1) 분석결과 요약 및 논의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측정변인 문항
 Abstract

저자정보

  • 김기용 Kee Yong Kim. CBS 기독교방송 기자
  • 박남기 Namkee Park.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